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뉴스
"
우리
"(으)로 총 9,77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6.28
남성은 약 1.4kg, 여성은 약 1.25kg입니다.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뇌 무게가
우리
몸의 약 3%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은 2014년 남성과 여성의 뇌 크기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은 1990년부터 2013년까지 발표된 신경과학 연구 논문을 ... ...
지긋지긋한 손떨림 이제 끝…팽이 원리 적용한 '자이로글로브'
과학동아
l
2025.06.28
손에 닿기를 바랍니다. 더 많은 사람에게 더 넓은 신체 움직임에 적용할 수 있는
우리
기술의 비전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6월호, 미래×과학 떨리던 손을 ... ...
'인간 DNA 합성' 프로젝트 착수…'맞춤형 베이비' 우려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조이 장 영국 켄트대 교수는 “전문가, 사회학자 그리고 대중은 DNA 합성 기술이
우리
에게 어떤 도움이 될지, 어떤 우려를 유발할지 견해를 내길 바란다”고 전했다 ... ...
1000큐비트 양자컴·100km 양자통신 개발…8년 6454억 투입 '양자 플래그십' 확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6.26
"신산업 육성을 통한 성장, 탄소중립 산업전환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 등
우리
사회의 주요 문제를 관통하는 핵심 사업들의 추진이 확정돼 기쁘다"고 밝혔다 ... ...
[과기원NOW] KAIST, 신소재로 軍 개인 맞춤형 훈련시대 연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25
"이번 연구결과는 전투의 유형에 따른 맞춤식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해
우리
장병들의 전투력을 향상하고 생존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명수 전기전자공학과 교수와 윤태식 반도체소재·부품대학원 교수팀이 바나듐 산화물 멤리스터 ... ...
"1960년대 고전컴퓨터와 현재 양자컴 닮아…오류정정 5년간 비약적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25.06.24
확장을 위한 3차원 구조와 배선 분야에서 기술 혁신이 필요하다고 봤다. 페인터 교수는 "
우리
가 지금 양자 오류를 정정하고 있다는 것은 패러다임 전환"이라며 "인공지능(AI)도 양자컴퓨터 오류정정 기술을 개선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리아 머츠바처 미국 양자개발컨소시엄(QED ... ...
세계 최대 전천 탐사망원경 ‘첫 영상’ 공개…한국도 공동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6.24
병합 중인 은하 3개와 두 개의 나선은하가 선명히 드러나며 더 먼 거리의 은하 그룹들과
우리
은하 별들도 함께 포착됐다. 두 번째 영상에서는 단 10시간의 관측만으로 2104개의 새로운 소행성이 확인됐다. 이 중 7개는 지구 근접 천체인 것으로 분석됐다. 베라루빈천문대가 공개한 두 번째 영상. ... ...
'파라오의 저주' 독성 곰팡이가 백혈병 치료제로 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25.06.23
가오 교수는 "자연이
우리
에게 놀라운 '약국'을 선사했다"며 "그 비밀을 밝혀내는 것은
우리
에게 달려 있다"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89-025-01946- ... ...
박단 "복귀 결정할 때 아냐…새 정부와 전향적 대화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6.23
추진하려는 내부 기류에 대해선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우리
에게 유리한 국면은 없었지만
우리
가 버텨온 건 지켜야 할 가치와 방향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신중한 판단을 당부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새 정부와는 전향적으로 대화하고 소통할 것"이라며 "총회 개최 여부도 충분히 논의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흑물질 비밀 밝히는 베라루빈 천문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6.22
폭발, 감마선 폭발처럼 짧은 시간 동안 급격히 밝아지는 천체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
우리
은하가 형성될 당시 합병된 왜소은하에서 끌려온 항성 흐름까지 추적한다. 이를 통해 은하의 진화사를 복원할 수 있다. 항성 흐름의 구조와 왜곡은 암흑물질과의 중력 상호작용을 반영하기 때문에 소규모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