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립
미립자
암맹이
알
난
알맹이
입자
뉴스
"
알갱이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기한 빛기둥
팝뉴스
l
2020.11.08
직역하면 태양 기둥이고, 정식 명칭은 태양주太陽柱이다. 햇빛이 공기 중의 얼음
알갱이
에 반사되면서 이런 신비한 모습인 연출된다. 최근 미국 콜로라도 지역에서 촬영된 사진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학술 식민주의'에서 독립한 아프리카 게놈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0.31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이번 주 표지로 다양한 색깔의
알갱이
로 가득 들어찬 게놈 코드를 표지에 실었다. 아프리카는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가 탄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의 요람이다. 하지만 가장 먼저 인간이 살며 가장 다양한 유전자를 가졌을 아프리카인의 유전적 다양성은 정작 ... ...
[프리미엄 리포트]사람도 통과하는 '유령입자' 중성미자
2020.10.24
모든 성질이 같고 전하만 반대로 양전하를 띱니다. 양전자는 전자와 만나면 소멸되며 빛
알갱이
인 광자를 만듭니다. 광자가 나온다는 것은 빛이 나온다는 뜻입니다. 즉, 양성자와 전자만 있는 깜깜한 곳에서 빛 한 줄기가 갑자기 마법을 부린듯 나타난다면 중성미자가 양성자와 반응했다는 것을 ... ...
토성 달 '엔켈라두스' 북반구에도 바닷물로 형성 새 얼음 흔적
연합뉴스
l
2020.09.21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됐다. 연구팀은 북반구를 덮은 새 얼음이 얼음
알갱이
분출이나 얼음 사이 틈으로 바다의 얼음이 표면으로 서서히 밀고 올라오면서 형성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토비 연구원은 "적외선은 남극 주변의 얼음 표면이 형성된 지 얼마 안 된 것이라는 점을 ... ...
125살 맞은 X선, 지금도 코로나19 대응 최전선에서 맹활약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인간 X선 사진. 위키피디아 제공 X선은 가시광선, 마이크로파, 전파와 동일한 광자(빛
알갱이
)로 구성된 전자기 복사의 한 형태다. 독일의 물리학자인 빌헴른 뢴트겐은 1895년 암실에서 유리관에 저압의 가스를 넣어두고 전류가 어떻게 통과하는 지 관찰하다가 두꺼운 책이나 나무판자까지 투과하는 ... ...
0.001mm 공간에 빛 가두는 이론 나왔다...나노레이저 등 응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08.19
서로 같은 대칭성을 갖는 모드 사이에서 소멸간섭이라는 현상이 나타나고 이 경우 빛
알갱이
가 미세한 공간에 갇히는 상태가 형성된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밝혔다. 이렇게 입자가 미세한 공간에 갇힌 상태를 속박상태라고 한다. 보통 에너지가 바닥상태(속박에너지)보다 큰 입자는 불안정해 ... ...
[사이언스N사피엔스]분광학, 천문학의 새 장을 열다
2020.08.06
전파나 가시광선이나 어차피 전자기파로서의 빛일 뿐이고 양자역학적으로는 빛
알갱이
인 광자(photon)일 뿐이다. 20세기 후반에는 광자 이외에 중성미자로 우주를 ‘보기’ 시작했고, 21세기에는 중력파로도 우주를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 어차피 광학망원경을 통해 우주에서 날아오는 가시광선을 ... ...
N극과 S극 마음대로 바꾸는 스마트 자석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개발한 소재는 자석입자와 상변화 물질(PEG)이 혼합된 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크기의
알갱이
가 고분자 기질에 박혀 있는 구조다. 상변화 물질은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 액체에서 고체 등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하는 일종의 물리적 변화과정을 통해 열을 축적하거나 저장한 열을 방출하는 ... ...
[프리미엄 리포트] '갤럭시A 퀀텀'에 들어간 양자난수생성기란 어떤 장치인가
과학동아
l
2020.08.01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시스템 대부분이 이런 진짜 난수를 이용하고 있다. 빛
알갱이
로 초당 2000여 개 양자 난수 생성 최근에는 우주배경복사(CMB·Cosmic Microwave Background), 양자역학 현상 등 예측할 수 없는 자연 현상을 이용해 난수를 생성하기도 한다. 그리고 난수를 생성할 재료로 양자(quantum ... ...
물대포 쏘듯 분사해 화학물질 누출사고 잡는 과립형 중화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4
“누출된 화학물질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 알 수 없을 때 지시약 기능이 있는
알갱이
를 살포해 초동 대응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환경분야 학술지 ‘케모스피어’에 게재됐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