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립
미립자
암맹이
알
난
알맹이
입자
뉴스
"
알갱이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퇴출에 대기 붕괴까지…명왕성의 눈물나는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빙하다. 이번에 미국 연구팀은 빙하 일부 표면에서 줄무늬 지형을 새로 찾았다. 메탄 얼음
알갱이
가 쌓인 모래 언덕이다. NASA 제공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당한 명왕성의 대기가 붕괴될 운명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9일(현지시각) CNN은 앤드루 콜 호주 태즈메이니아대 천문학과 교수 연구팀이 ... ...
"땅 파지마" 자원·암반·CO2저장 연구 전국 곳곳 중단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5km 지하까지 파는 지열발전과 달리 파는 깊이가 얕은 편이다. 이산화탄소는 지층 속 토양
알갱이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인 ‘공극’에 스며들어 저장된다. 육지가 아닌 바다에 구축하게 되며, 일부러 지층에 압력을 가해(수리자극) 공극을 넓히고 길을 내야 하는 지열발전과 달리 압력을 가하지 ... ...
무선 전자기기 전성시대...과연 건강은 괜찮을까
2019.03.24
광자)가 마치 파도가 치듯 주기를 갖고 빛의 속도로 뻗어 나가는 현상을 의미한다. 빛
알갱이
의 파도가 잘게, 자주 치면(파장이 짧으면) 자외선이나 X선이 된다. 이들은 물질의 화학 결합을 끊는 힘을 지닌 ‘이온화방사선’으로 건강 영향이 있을 수 있다. 강한 햇빛 속 자외선에 피부가 타는 것도 ... ...
세계 첫 인공 유성우 2020년께 일본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알갱이
들은 고속으로 낙하해 상공 50~80km의 대기권에 진입하고 공기의 마찰과 압력으로
알갱이
들이 불타면서 유성우가 만들어진다. 이 유성우는 직경 200km 범위까지 관찰이 가능하다. 유성우는 본래 혜성이나 소행성들의 잔해가 지구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이다. 혜성이 태양 ... ...
여성 과학자로 사는 건 ‘산넘어 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1
발견했다. - Sam Fentress(W) 제공 1945년 그는 한 자루의 옥수수에서 서로 다른 색깔의 옥수수
알갱이
가 자라는 것을 관찰했어요. 그 이유가 색깔을 정하는 유전자가 움직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지요. 바버라 맥클린톡이 발표한 ‘움직이는 유전자’는 처음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나중에는 ... ...
붉은불개미 살충제 살포 해결책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가는 피해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항만 곳곳에 도포됐던 개미약(적갈색
알갱이
)들의 흔적이 남아 있다-김진호 기자 곤충학자인 이강운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도 "발 빠르게 예방적 차원의 조치를 하려는 시도는 이해하지만 부정확한 자료로 과장되게 포장하여 많은 국민을 공포로 ... ...
'분자지문'으로 계란속 살충제 실시간 검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8
분자 성질을 나타내서 이른바 ‘분자 지문’이라고 불리는 라만 신호에 주목했다. 빛
알갱이
인 광자는 물체에 부딪히면 반사되거나 투과되며 에너지를 약간 잃어버리는데, 이를 측정한 것이 라만 신호다. 라만 신호는 물체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를 측정할 수 있으면 물체의 상태를 알 수 있다. ... ...
지구사랑탐사대 어벤져스 '앤트맨'과 함께 숲속 개미 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05
” 탐사를 시작한 동민수 연구원은 돌 아래의 흙을 조금 퍼낸 뒤, 체로 커다란 흙
알갱이
들을 걸러냈어요. 그러자 고운 흙 입자 속에서 움직이는 개미들의 모습을 자세히 볼 수 있었답니다. “이 개미는 ‘일본침개미’예요. 벌처럼 독침을 가지고 있답니다.” 대원들에게 개미에 대해 설명 중인 ... ...
‘이모지’ 만드는 초소형 안면 스캐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27
흔히 ‘점 구름(Point Cloud)’ 기술이라고 부른다. 넓게 빛을 뿌리면 4044개의 점(빛
알갱이
)으로 흩어져 주변의 물체에 닿는데, 센서를 이용해 이 정보를 종합해 안면을 비롯해 주변을 입체적으로 인식한다. 스마트폰에서 사용할만한 초소형 스캐너를 만들려면 ‘회절광학소자’와 ‘라이다 기술’이라 ... ...
큰 것 거르는 발상의 전환 ‘거꾸로 필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9
막과 비슷하지만 거꾸로 필터 액체 막은 훨씬 튼튼하고 질기다. 비눗방울 막은 작은 모래
알갱이
만 닿아도 터지지만, 거꾸로 필터 액체 막은 초파리나 벌 같은 꽤 큰 곤충과 부딪쳐도 터지지 않게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유리나 플라스틱 공 등 재료로도 실험했다. 이들 물체가 통과한 뒤 막은 원래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