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반론"(으)로 총 153건 검색되었습니다.
- 40년 미제사건 푼 과학수사,과학계 미투운동…올해 최고 과학뉴스들동아사이언스 l2018.12.02
- 연구소 측에 "3년간의 연구끝에 얻은 성과라며 1저자로 올려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반론을 제기한뒤 6개월 만인 지난 9월 28일 갑작스럽게 해고 통보를 받게 됐다. 연구소측은 이미 다른 연구자가 해당 연구를 먼저 수행했기 때문에 1저자 지위를 인정할 수 없으며, 동물 사용에 관한 규정을 ... ...
- “한해 1000만명이 슈퍼박테리아로 사망하는 시대 온다" 2018.11.18
- 말했다. 류 센터장은 “신약을 개발해도 금방 내성이 생겨버리면 소용없지 않냐는 반론도 있다”며 “세균의 여러 생체 기작을 동시에 방해하는 물질을 찾는 등 최대한 균을 억제할 방법을 찾는게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이라고 말했다. 세균의 진화가 두렵다고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다는 ... ...
- '오무아무아’에 대한 하버드대 과학자들의 분석동아사이언스 l2018.11.11
- 혜성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버드대 연구진의 해석에 대한 반론도 많다. 비록 태양 근처의 가속도 문제가 여전히 풀리지 않았지만, 오무아무아가 혜성과 똑같은 궤적으로 움직인데다 솔라 세일이 태양의 압력을 받아 진동하는 것보다 훨씬 복잡한 진동패턴을 가졌기 때문이다 ... ...
- 英연구진, 230만쌍 염기서열 한번에 해독…최장 기록 경신동아사이언스 l2018.11.02
- 현장에서 게놈을 해독해야 할 경우 유용하다. 정확도도 여러 번 해독해 높일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루스 교수팀은 올해 1월 29일 나노포어로 긴 염기서열을 읽는 기술을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발표하기도 했다. 당시 연구팀은 나노포어 미니온을 이용해 88만 쌍 규모의 염기서열 ...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기는 안전할까?동아사이언스 l2018.09.13
- 새로운 어머니의 DNA를 만나더라도 잘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반론도 만만찮다. 미토콘드리아가 외부 유전자에 적응하기 위해 엄마의 DNA와 협력하고 있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배아가 만들어질 때 익숙한 모계 DNA가 주선자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즉, 기증자 B의 미토콘드리아는 A의 ... ...
- 교사 1인당 학생 수 OECD 평균에 근접… 교육 여건도 나아졌나동아일보 l2018.09.13
- ‘얼마나’ 나아졌는지에 대해서는 “이젠 충분하다”는 주장부터 “아직 멀었다”는 반론까지 의견이 갈린다. GIB 제공 ○ 교사 1인당 학생 수 vs 학급당 학생 수 어느 쪽의 말이 맞는지 따지려면 우선 ‘교사 1인당 학생 수’와 ‘학급당 학생 수’를 봐야 한다. 전자는 국내 교육의 소프트웨어, ... ...
- 인간만이 가진 특별한 ‘언어 유전자’는 없다동아사이언스 l2018.08.10
- 준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언어 유전자는 정말 존재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여러 반론이 등장했다. 먼저 네안데르탈인이나 데니소바인 등 다른 친척 인류의 게놈 해독 결과 그들에게도 우리와 아주 닮은 FOXP2 유전자가 있음이 발견됐다. 이 유전자가 퍼진 시점이 20만 년 전이 아니라 세 인류의 ... ...
- 이유식 일찍 시작한 아기, 밤잠 잘 잔다?동아사이언스 l2018.07.10
- 이유식을 먼저 먹인 경우 45%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한 반론도 있다. 김한석 서울대 의대 교수(소아청소년과)는 “이유식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점은 아기의 성장과 알레르기 유무, 인지기능 발달이지 수면시간이 아니다”라며 “장기적 관점에서 아직은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주먹도끼의 반격...인간은 힘 합쳐 자연과 싸우며 진화했다2018.06.10
- 증가와 언어의 진화가 바로 사회적 관계를 맺기 위해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반론도 적지 않습니다. 바로 도구 가설입니다. 사진 GIB 제공 도구가 사람을 만든다(tools maketh the man) 구글에서 사회적 뇌 가설(social brain hypothesis)을 딱 끊어서 검색하면, 18300개의 결과가 검색됩니다. 그러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 뇌용량이 클수록 IQ가 높다는 연구결과가 많지만 증가 폭이 미미해 큰 의미가 없다는 반론도 있다. 20세기 최고 천재 아인슈타인은 머리가 작았다. 1955년 아인슈타인이 76세로 사망한 뒤 꺼내 측정한 뇌의 무게는 1230g으로 부피로 환산하면 1190cc 내외다. 노화로 뇌가 약간 줄어들 수 있음을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