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박
논박
논란
이론
이설
이단
뉴스
"
반론
"(으)로 총 15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적 사실과 사후검증‘의 관점에서 본 천안함 논쟁
2016.09.26
만에 조사결과가 공식 발표되었다. 이런 점들은 조사결과 보고서의 내용이 발표 이후의
반론
에 치밀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여유를 갖추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어쩌면 합조단의 조사결과 보고서는 별도의 독립적인 전문가들로 구성되는 일종의 ‘검토 위원회’를 거쳐 미진한 부분을 보강하는 ... ...
피자 가게 앞에 줄 선 대통령
2016.09.24
네티즌 사이에서 뜨거운 화제다. ‘놀랍다’거나 ‘부럽다’는 반응이 많다. 하지만
반론
도 있다. 만일 미국의 대통령이 매일 줄을 서서 햄버거를 구입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적국의 암살자나 테러리스트들이 몰려들어 대통령은 물론 시민들도 위험해지지 않을까. 위의 상황은 평화로운 ... ...
눈이 넷 ‘귀여운 물고기’ 잡혀
2016.08.24
복어의 일종이라는 제기된 상태라고 해외 언론들은 전한다. 반면 전혀 다른 종이라는
반론
도 있다. 한편 ‘방사능에 오염된 물고기일까’ 호기심을 갖는 네티즌들도 적지 않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 ...
발바닥이 인체의 축소판이라고?
과학동아
l
2016.06.12
원리가 통일되지 않았다는 소리지요. 신뢰성이 팍팍 떨어지는 소리가 들립니다. 여기서
반론
. 과학계에서도 논쟁이 일어나는 건 흔한 일이 아닙니까? 그건 맞습니다. 하지만 이건 논쟁이라고 부르기 좀 어렵습니다. 왜 그런지는 계속 들어보세요. 먼저 에너지장이나 생명력의 흐름을 뚫어줘야 ... ...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06.01
미스터리다. 태반을 통해 넘어간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지만 뚜렷한 증거가 없고
반론
도 만만치 않다. 신경세포에 침투한 뒤 어떻게 세포를 망가뜨리는지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자가 면역반응을 일으켜 스스로 자살을 하게끔 한다는 것이 유력한 가설이지만 증거가 더 필요하다. 브라질 ... ...
레이싱 하듯 달려도… “애걔, 시속 50km車보다 2분 빨랐네”
동아일보
l
2016.03.24
주행 비교 《 도심 제한속도를 시속 10km 낮추면 보행자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반론
도 만만찮다. ‘느림보 운전’이 원활한 교통 흐름을 방해한다는 이유다. 과연 그럴까? 제한속도를 10km가량 낮췄을 때 주행 시간과 교통 흐름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서울 도심에서 실험해봤다. 》 ‘너를 ... ...
[토요이슈]“흙수저도 쉽게 금수저 될 수 있다… 게임 속에서”
동아일보
l
2016.01.16
한국’서 벗어날 안식처라는 해석도 현실풍자 게임을 꼭 나쁘게만 볼 것은 아니라는
반론
도 있다. 게임 특성상 그래픽이 조잡하고 단순해 장기간 플레이할 수 있을 정도로 몰입감이 높지 않다. 오히려 팍팍한 한국 현실에 대해서 한번쯤 더 고민해 보게 된다. 또 현실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 ...
“히틀러는 브라질에서 95살까지 살았다”
팝뉴스
l
2016.01.13
통해 이 주장의 진위를 증명하겠다고 작가는 밝힌 바 있다. “소설에 불과하다”는
반론
도 있지만 이 주장은 여전히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동아쟁론]“폐암 주세요” 금연광고
동아일보
l
2015.12.11
주장합니다. 하지만 담배의 유해성을 경고하려면 더 강력한 금연캠페인이 필요하다는
반론
도 강합니다. 이들은 “이 정도는 크게 문제되지 않는 수준이며 해외에선 더 자극적으로 표현하는 광고도 많다”고 말합니다. 팽팽한 양측의 의견을 들어봤습니다. 》 외국 비해 이 정도는 애교수준 [贊]최근 ... ...
예술가를 사랑한 컴퓨터
과학동아
l
2015.10.29
문제라도 해결할 수 있다. 인간 특유의 창의성을 필요로 하는 일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반론
이 있지만 최근에는 예술까지 그 범위를 넓혔다. 오른쪽 그림이 바로 컴퓨터가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을 어디서 본 것 같은 기분이 들지 않는가. 이 그림은 컴퓨터가 빈센트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