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분포"(으)로 총 1,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기한 달팽이 top3기사 l20220914
- 차지했습니다! 제주도가 모식산지인 한국 특산종으로 밤달팽이과에서 가장 대형종입니다. 제주도에서만 출현하는 제한된 분포를 보이는 종이예요. 서식지는 제주도의 습기 진 관목림 밑이나 돌무덤 주변이죠. 산지개발 및 서식처의 환경변화로 개체수가 감소했어요. 패각 형태는 나탑이 낮은 원추형으로 나층은 4.5층이예요. 껍데기는 얇고 반투명한 황갈색을 띠며 ...
- 지킴이 - 220908 - 1탐사기록 l20220908
- 카자흐스탄, 몽골, 러시어동북부, 유럽 등에 분포.홍천 캠핑장에 피어있습니다.^^ ...
- 교과서 속의 잘못된 유사과학기사 l20220820
- 맛 지도 입니다. 혀의 특정 부분이 특정 맛을 느낀다는 내용인데요. 역시 잘못되었습니다. 미각은 혀 전체에서 감지합니다. 혀 전체에 분포하는 미각 세포의 단백질과 반응하여 맛을 느끼는 것이죠. 그리고 추가로 유사과학이라고 하기는 뭐하지만 잘못된 사실들입니다. 4. 한글은 세상 모든 발음을 구현할 수 있다. 초등 국어 교과서에 ...
- [시민과학풀씨] 미끈망둑 프로젝트 현장교육 22.08.03~22.08.04기사 l20220811
- 않은 종입니다.이번 연구에서 시민과학자와 함께 제주도에 미기록종으로 추정되는 검정미끈망둑(Luciogobius martellii)와 미끈망둑속의 분포도 함께 기록할 예정입니다. 이렇게 채집한 미끈망둑속은 체장, 전장을 측정 후 주변 환경(날씨, 하상구조, 하천 폭), 위치, 수질측정값과 같이 야외장부에 기록합니다. 그리고 일부 개체는 액침 ...
- 최강의 곤충들 1편(절지동물 포함)기사 l20220808
- 조유현 기자 입니다. 오늘은 엄청난 힘을 가진 최강의 곤충들을 알아볼 겁니다. 1. 야누스코끼리장수풍뎅이: 남미에 넓게 분포하며 악테온코끼리장수풍뎅이 보다 광택이 더 강하여 보기 드물읍니다. 출처_용용이의 애완동물 블로그 2. 황제전갈: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집게발 힘으로 장수풍뎅이의뿔을 부수고, 하늘소를 부숴서 으깬 이런 엄청난 ...
- 매미에 대한 모든 것기사 l20220807
- 소리를 크게 증폭 시키기 위한 작업을 하기 때문입니다. 매미는 성충으로의 수명은 짧지만 생명력이 강한 곤충으로써 전세계에 넓게 분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매미 역시 산이나 들의 공기가 맑고 환경이 좋은곳 에서만 사느것이 아니라 서울이나 기타 대도시같은 매연도 많고 녹지공간이 많지 않은 곳에서도 살 수 있습니다. 특히 유충의 경우 땅속 ...
- 매미에 관한 보고서기사 l20220805
- 밀집도가 증가하고 도시에는 유리,금속,아스팔트 같은 재질이 많고 이러한 재질은 소리를 잘 반사 해서 그렇다고 합니다. 또한, 매미 분포에 있어서 다른 종의 매미는 어디에 사는지 모르겠지만 말매미는 도시에 많이 산다 합니다. 여러분 혹시 얼마나 많은 매미 종류를 알고 계신가요? 혹시 눈이 빨갛고 등은 검은색이며 날개는 오래지 색인 매미를 ...
- 벌교 기수역에는 어떤 물고기가 살까?기사 l20220728
- 예전에 해수어를 채집할 때 피라미가 나와 너무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강의 중류부터 강 하구를 넘어 바다까지 피라미의 분포는 정말 넓은 것 같습니다. ------------------------------------ 이번에는 저와 같이 기수역에 사는 물고기를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또 새로운 환경에 어떤 물고기가 살아가는지 알찬 정보와 ...
- 대구과학관 탄소2050 제로시티: 2050 탄소중립과 기후위기기사 l20220726
- 만큼 기후변화로 인한 생물다양성 변화를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예측할 수단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정부가 기후변화로 인해 활동, 분포 등이 뚜렷하게 변화될 생물을 꼽아서 정부에서 지속적인 조사,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지정한 것이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입니다.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은 총 100종이 있습니다. 식물 39종, 조류 18종, 곤충 1 ...
- 세계의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 1편.기사 l20220712
- 작고 귀여우며 우리나라 사슴벌레중 가장 흔히 볼 수 있습니다. 6.,두점박이사슴벌레 몸통엔 두 개의 반점이 있으며 제주도에서만 분포하고 보호종이여서 포획과 사육이 금지 됐습니다. 7.다우리아사슴벌레 다른 사슴벌레들 보다 수명이 짧으며 늦여름 산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8.홍다리사슴벌레 암수 모두 몸이 검정색이며 넓적다리마디가 붉은색입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