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분포"(으)로 총 1,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름에는 어디로 가야할까요? - 민물고기 산간계류 탐사편기사 l20220711
- 계곡이라고도 할 수 있어요. 이런 산간계류의 특성은 나무들 덕분에 햇빛이 잘 투과하지 못해서 수초보단 바위의 이끼류가 잘 분포되어 있어요. 그리고 보시는 사진과 같이 거대한 암석과 급류등이 형성이 되어있어요. 따라서 채집할 때 이끼 때문에 미끄럽고, 물살이 거칠고 수심이 깊기 때문에 안전에 항상 유의하면서 채집을 해야돼요. 그럼 이러한 산 ...
-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식물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20622
- 사람이 먹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놀랍게도 강아지풀에는 꽃이 열리며, 그 개화 시기는 심지어 한여름에 해당된답니다. 강아지풀 분포 지역은 전국 어디서나 자라며, 농촌 밭 근처에 주로 서식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강아지풀과 아주 비슷한 유사종이 있는데 그 유사종이름은 금강아지풀이라고 해요. 이 둘의 구분 방법은 색깔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강 ...
- 6월 민물고기 탐사후기!기사 l20220619
- 탐사는 지금까지 5번째 입니다. 특히 이번 민물고기 탐사는 꽤나 흥미로웠습니다. 어떤 민물고기를 만나고, 또 우리나라 민물고기의 분포 영역은 어디까지 되는지 궁금했습니다. 그럼, 한번 알아보도록 하죠. 저희 가족은는 양주 민물고기 생태 학습관에 갔습니다. 가보니 생각보다 탐사대원이 많이 참가했습니다. 멀리 천안 인천에서 오신 가족도 있으셨어요 ...
- 민물고기 현장 교육에 다녀왔어요.기사 l20220612
- 돌아보았어요. 많은 민물고기가 있었는데 제가 소개하고 싶은 물고기는 황쏘가리! 천연 기념물 제 109호로 한강, 임진강에 분포해요. 크기는 30~60 cm로 물이 비교적 맑고 자갈과 바위가 많은 큰 강, 대형 호수에 살아요. 황쏘가리가 노란색인 이유는 몸에 태어날 때부터 멜라닌이 부족해서 노랗게 보이는 거예요. 그리고 민물고 ...
- [후속](감동주의!) 할머니댁에 찾아온 특종!기사 l20220611
- 날개와 꽁지는 하늘색 알 - 1회에 6~9개 수명 - 5년 ~ 10년 서식장소 - 물가 주변의 산림 또는 계곡, 야산이나 농경지 주변의 우거진 숲 분포지역 - 한국, 일본 물까치는 한번에 6~9개의 알을 낳아 17~20일 동안 품으며, 새끼는 18일 동안 어미의 보살핌을 받은 뒤 둥지를 떠납니다. 먹는것은 잡식성이어서 곤충, 열매, 씨앗 ...
- (놀람주의!) 할머니댁에 찾아온 특종!기사 l20220601
- 날개와 꽁지는 하늘색 알 - 1회에 6~9개 수명 - 5년 ~ 10년 서식장소 - 물가 주변의 산림 또는 계곡, 야산이나 농경지 주변의 우거진 숲 분포지역 - 한국, 일본 물까치는 한번에 6~9개의 알을 낳아 17~20일 동안 품으며, 새끼는 18일 동안 어미의 보살핌을 받은 뒤 둥지를 떠납니다. 먹는것은 잡식성이어서 곤충, 열매, 씨앗 ...
- 세상에서 가장 큰 곤충 Top5기사 l20220527
- 멈췄다고 한다. 이 곤충의 길이는 수컷 46~178mm, 암컷 47~80mm로 초대형 열대지방 장수풍뎅이에 속한다. 주로 인도네시아와 과테말라에 분포하며 코카서스 왕 장수풍뎅이라는 라이벌이 있다. 과학자들은 이 두 곤충이 싸우면 코카서스 왕 장수풍뎅이가 이길 것이라고 말했지만 충왕전에서는 헤라클레스 왕 장수풍뎅이가 이겨 논란을 일으킨 적이 있었 ...
- 달팽이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기사 l20220505
- 안 되요ㅠㅠ. 3.동양달팽이 (출처: 네이버) 동양달팽이는 거문도·제주도·홍도·내장산·속리산 등지에 분포해 있어요. 우리나라에 있는 달팽이 중에서 가장 크죠. 동양달팽이의 껍데기 표면은 황갈색이고, 알은 회백색이에요. 이상 정지후 기자였습니다 . 감사합니다 ... ...
- 탐사기록 l20220504
- 송호복, 박종영 저, LG상록재단) 노란색이 참갈겨니 HK타입, 보라색이 NS타입, 파란색이 NE타입이 분포하는 영역인데 이 중 NS형과 NE형의 분포범위가 겹쳐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다음은 평상시 혹은 어린 갈겨니와 참갈겨니의 구별법 이에요. 피라미에 비해서 갈겨니와 참갈겨니는 비슷하게 생겼기에 살짝 더 세밀한 관찰이 필요해 ...
- 탐사기록 l20220504
- 서로 서식하는 서식지가 다르다는게힌트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참갈겨니 NE타입은 피라미 B타입처럼 주로 하천의 상류에 많이 분포하고 NS타입은 하천의 밑으로 내려갈수록출현비율이 점점 높아지는데 이는 같은 하천에 살아도 서식지가 다르면 생식적 격리가 일어났다고 볼 수 있어요.이번 연구를 통해 참갈겨니가 타입별로 서로 어떤 서식지를 선호하고 집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