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궤도"(으)로 총 24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사 l20240625
- 은 인류가 우주에서 이루어낸 가장 큰 과학적, 기술적 성과 중 하나입니다. 1998년에 첫 모듈이 발사된 이후, ISS는 20년 넘게 지구 저궤도를 돌며 다양한 과학 실험과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ISS는 미국, 러시아, 일본, 캐나다, 그리고 유럽 우주국(ESA) 등 여러 나라의 협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인류의 우주 탐사와 과학 발전에 중요 ...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우주과학을 생각하다.기사 l20240625
- 1. 다누리호! 우리나라의 달 탐사선! 음.. 그런데 한국지질자원연구원하고 무슨 상관일까? - 다누리호가 우주로 성공적으로 날아가 궤도를 도는 모습이 굉장하다는 생각만 했었어요. '어떻게 저렇게 만들었을까? 어떻게 올라갔을까? 신기하다~' 그런데 사실 다누리호가 무슨 일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잘 몰랐어요. ^^;; - ...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가다!!(어린이 우주인 선발대회 현장미션)기사 l20240624
- 저 먼 우주까지, 모든 곳의 지질을 연구하고 있어요. 특히, 달의 희귀 원소연구를 위해 감마선 분광기를 개발했고, 지금 현재도 달 궤도 100Km 상에서 빙글빙글 돌면서 감마선을 측정하고 있는 거지요. 우주에서는 태양이나 각종 행성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입자가 계속 떨어지는데 그 입자가 달 표면에 있는 원소들과 반응해서 감마선이 발생되고 이를 ...
- 우주는 개발이 아닌 활용이다!(어린이우주인 선발대회 현장미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기사 l20240623
- 해 보았을때, 공을 던진 속력이 매우 커 지구의 중력을 이겨내면 지구의 표면이 둥글기 때문에 지표면부터의 높이는 변하지 않고 궤도를 돌게 됩니다. 여기에서 그 '공'은 인공위성을 뜻합니다. 따라서 인공위성을 실은 로켓이 지구의 중력을 이겨내 우주로 나간다면 우주에서의 지구의 중력 때문에 지구 주위를 빙글빙글 돌게 된다는 것이였습니다. 여기에서 ...
- 대한민국 우주개발 1번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기사 l20240623
- 각각 하루 평균 2~3회 정도 컨택을 하고 500~700km 고도에 있어 빠르게 통과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지궤도위성에 비해 더 많은 수의 위성이 필요하다고 해요. 우리나라는 현재 1호 위성을 운영하고 있는데, 2027년까지 총 11대의 위성을 군집 형태로 활용한다네요. 우주에서 대형을 이뤄 움직이는 위성이라니.. 정 ...
- 우리의 우주산업이 이루어지는 곳! 한국항공우주연구원!기사 l20240622
- 대형위성 조립실의 블라인드가 올라가 있어 아직 쏘아 올리지 못한 아리랑 6호와 아직 만드는 중인 아리랑 7호를 볼 수 있었습니다. 궤도환경시험실에서는 우주에서의 온도를 버틸 수 있는지 123도부터 -183도까지의 온도를 조절해서 실험할 수 있는 기구가 갖춰져 있었습니다. (사진 : 위성총조립시험센터 로비에서 설명해주시는 함지연 연구원님 ...
- 2024 우주 탐사: 새로운 시대의 개막기사 l20240622
- NASA의 DART 미션 이후의 후속 조사로, 소행성의 궤도를 변화시키는 실험의 데이터를 수집할 것입니다. 이 외에도 상업적인 저궤도 우주 비행이 계속해서 발전할 예정입니다. 시에라 스페이스(Sierra Space)의 드림 체이서(Dream Chaser)는 3~7명의 승무원을 태우고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보급품을 운송할 ...
- [항우연현장미션] 하늘과 우주를 향한 대한민국의 꿈의 실현 현장에 다녀오다.기사 l20240620
- 빠르게 돌리고 멀때는 느리게 돌리는 것을 직접 보여주시며 설명해 주셔서 훨씬 더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지구 대기권 밖의 궤도에 올려진 인공위성이 계속 공전하기 위한 최소속도는 초속7.9km = 시속 28,000km 아리랑위성은 지구한바퀴를 도는데 1시간30분 걸리기 때문에 지도를 만들거나 첩보위성으로 주로 사용되고 천리안위성은 지구한바퀴를 ...
- (현장미션)이제 우주개발의 시대가 아니라 우주활용의 시대이다.기사 l20240619
- 느껴져 대한민국의 국민인 제가 정말 뿌듯했는데 설명해주시는 분들의 목소리 하나하나에 큰 자부심이 느껴졌습니다. 저궤도위성인 아리랑 위성1~5호부터 정지위성인 천리안 위성 1~3호까지 개발 과정에 대한 것, 기술 고도화에 대하여 들었는데 실제 모형이 전시된 위성총조립시험센터로 이동하였습니다! 해상도가 점점 높아져가고 레이더위성으로 ...
- 달 따러 가요!(한국지질자원연구원 현장 미션)기사 l20240613
- 탐사선 소개 다누리 탐사선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해 2022년 8월에 발사한 우리나라 최초 달 궤도 탐사선이예요. 달 궤도를 돌며 달의 자원을 탐사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자원 탐사, 분석을 이 연구원에서 한다고 해요. 2. 감마선 분광기 소개 다누리 탐사선에는 6개의 탑제체가 실려 있어요. 감마선 분광기,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