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촉각"(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깡충거미 귀는 소머즈 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않고 먹이를 잡는 ‘배회성 거미’랍니다. 지금까지 배회성 거미는 청각이 아닌 시각과 촉각에만 의존해 물체의 위치를 파악한다고 알려져 있었지요.연구팀은 1초에 60장의 사진을 찍는 카메라와 뇌파 분석 기계로 실험을 진행했어요. 소리 신호를 0Hz, 80Hz, 2000Hz로 나눈 후, 깡충거미에게 각각 4번씩 ... ...
- 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때와 왼팔을 볼 때의 감각통합 결과가 달라져요. 만약 오른팔을 보면서 오른팔이 긁히는 촉각을 느꼈다면 오른팔의 가려움만 해소됐을 거예요.하지만 실험에서는 왼팔을 보기 때문에 평소와 다른 시각 정보가 뇌에서 통합됐고, 결국 왼팔의 가려움이 일부 해소됐다고 느끼게 된 거예요.▼관련기사를 ... ...
- 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위 그림 ➊의 A와 B의 색깔을 주의 깊게 보세요. A보다 B가 밝게 보이지 않나요? 하지만 그림 ➋를 보면 실제로 A와 B의 색깔은 완전히 똑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답니다.이런 것을 흔히 시각이 착각을 했다고 해서 ‘착시’라고 해요. 하지만 B가 밝게 보이는 것은 시각이 잘못됐기 때문은 아니랍니다. 김 ... ...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효율 높은 다족 로봇을 개발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그밖에도 햅틱 형태의 촉각 피드백을 줄 수 있는 360° VR헤드셋 기술, 사람 얼굴 표정을 트래킹해서 실시간으로 캐릭터에서 합성하는 기술 등 재밌는 기술이 지난 10월에만 21개나 공개됐습니다. 더 많은 내용은 홈페이지나 지난해 12월 ... ...
- [과학뉴스] 간지럼 느끼는 뇌 부위 찾았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쥐의 대뇌피질에 전극을 꽂고 간지럼을 태우면서 신경세포 반응을 관찰했다. 그 결과, 촉각을 담당하는 뇌 영역인 체감각피질이 활성화됐다. 또 직접 간지럼을 태우지 않고 이 부위에 전기 자극을 주자 쥐가 간지럼을 느낄 때 낸 소리를 똑같이 냈다.마이클 브렛 교수는 “간지럼을 느낄 때와 놀이를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투시력과 텔레파시, 염력의 정체를 과학적으로 밝히려고 애썼다. 그는 시각이나 청각, 촉각정보 외에 또 다른 자극이 뇌로 전해질 거라고 가정했다. 하지만 초능력이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에게 ‘카드 맞히기’ 실험을 한 결과, 카드를 맞히는 건 능력이 아니라 단순한 확률일 뿐이라고 저서 ... ...
- 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영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롤러코스터의 움직임 때문에 우주 공간에 실제로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답니다.촉각, 후각, 미각 같은 다른 감각을 이용하기도 해요. 4월 중순 일본에서 문을 연 가상현실 게임센터는 고층 건물 난간에 매달린 고양이를 구하는 게임에 동물 인형을 동원했어요. 가상현실 속에서 고양이를 ... ...
- [Career] 소리까지 듣는 피부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그가 개발한 전자피부가 기존의 전자피부와 어떻게 다른지 물었다. 이미 전세계적으로 촉각은 물론 소리와 냄새까지 감지할 수 있는 전자피부가 개발돼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기존의 전자피부는 수직으로 누르는 압력과 온도 등 ‘정적인 촉감’만 느낄 수 있었어요. 저희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연구원은 “측정하는 방법과 얻을 수 있는 정보도 다르다”면서 “시각, 청각, 촉각으로 들어오는 정보를 종합하면 자연을 좀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듯이, 세 신호를 조합하면 천문학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다중신호가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살펴봤다.1. 감마선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2mm만 절개하고도 이식이 가능한 일체형의 작은 인공 망막을 개발했다.맥박을 측정하고 촉각을 느끼게 해주는 전자 피부도 피부와의 결합 문제가 중요하다. 생체신호를 정확하게 주고받으려면 전자 피부를 실제 피부에 밀착시켜야 하는데, 이 때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게 하려면 전자 피부가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