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촉각"(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느끼는 것은 아니었던 겁니다. 간지럼의 원인은 다시 혼란에 빠지게 됐습니다. 현재는 촉각과 통각의 혼합이 유력한 후보로 꼽히고 있는데요, 나흥식 고려대 의대 교수는 “그 외에도 압각과 진동과도 관련이 있다”고 할 정도로 많은 감각들과의 연관성이 제시되고 있습니다.왜 간지럼을 타게 ... ...
- [과학뉴스] 가상현실과 외골격 로봇을 결합하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느낄 수 있게 하는 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미국 스타트업 기업인 액손브이알(AxonVR)은 촉각을 느끼게 하는 전신수트와, 3차원으로 움직이는 외골격로봇의 시제품을 4월 19일 유튜브를 통해 공개했다. ‘액손수트(AxonSuit)’란 이름의 전신수트는 압축공기로 내부의 압력을 조절해 착용자에게 압력을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감지할 수 있는 전자피부가 개발돼 있다. 고현협 UNIST 에너지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촉각뿐만 아니라 소리도 인식하는 전자피부를 최근 개발했다. 아직은 아날로그 신호를 수집만 할 수 있는 수준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2 ...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물고기 로봇을 만들어 물속을 탐사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어요. 하지만 로봇은 예민한 촉각을 가지고 있지 못해 실제 물고기처럼 물속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지요. 멜리나 해일 교수는 물고기의 촉감에 대한 연구를 응용하면 물고기 로봇의 성능을 높일 수 있을 거라고 예상하고 있어요.저는 ... ...
- [소프트웨어] 팜! 나만의 해피농장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때 소리가 들리거나 미세한 진동이 느껴지게 만들었습니다.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과 촉각까지 느껴지니 재미도 더해지고, 실제 내 농장을 가꾸는 것처럼 즐거워지지요.이곳은 절대로 해가 지거나 먹구름이 끼거나, 비가 내리거나, 거친 바람이 불지 않아요. 농작물과 동물이 병들거나 죽을 염려도 ... ...
- 보온에서 생존 비결까지! 털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감각기란 냄새를 맡는 후각, 맛을 느끼는 미각, 앞을 보는 시각, 접촉을 통해 느끼는 촉각 등의 감각을 느끼는 기관을 말해요. 예를 들면 파리는 다리와 입에 난 털로 맛을 느낄 수 있어요. 털끝에 아주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고, 이 구멍이 미각을 느낄 수 있는 세포와 연결돼 있거든요. 덕분에 파리는 ... ...
- 명태 vs 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하는데, 물이 탁하면 찾기가 어려워요. 그럴때 대구는 아래턱에있는 수염을 이용해 그 촉각으로 먹이를 찾는답니다. 수염이 일종의 감각기관인 셈이에요.대구는 사는 곳도, 생김새도 명태와 비슷하지만 알을 낳는 장소가 명태와 달라요. 평소에는 명태처럼 북쪽 오호츠크해 쪽에 살지만, 산란기가 ... ...
- 국립수목원과 함께한 여름 숲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낮에 활동하는 곤충은 눈이 잘 발달돼 있지만, 야행성 곤충은 시각 대신 후각이나 촉각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며, “야행성 곤충은 빛의 밝기에도 민감해 빛을 보면 모이거나 아예 행동을 멈추고 가만히 있는다”고 설명했어요. 예를 들어 사슴벌레 수컷은 빛을 보면 바로 구멍 속으로 대피하고 ... ...
- 나방과 박쥐의 끝없는 생존경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지요. 이때는 눈을 통한 시각정보와 날개로 측정한 나무의 촉각 정보로 나무껍질의 3차원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나무와 가장 비슷하게 위장할 수 있는 자리를 찾아 내려앉아요.이처럼 나방은 위장과 정지, 자리 잡기 행동으로 주행성 시각포식자를 따돌린답니다.나방의 ... ...
- 만성 가려움증, 이유 찾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정상적으로 반응했지만 미세한 자극에는 과잉으로 긁는 행동을 보였다. 이는 미세한 촉각을 느끼는 신경회로가 별도로 존재하며 NPY 단백질이 전달자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흥미로운 사실은 털이 있는 피부의 감각신호는 NPY가 선택적으로 조절하지만, 손바닥과 같이 털이 없는 피부의 감각은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