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자"(으)로 총 31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동해 맛있는 달팽이들을 찾았다. 바위왕도마뱀이 이와 같은 환경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자 필립스는 도마뱀 몰래 방에서 달팽이 한 마리를 뺐다. 그랬더니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세 마리를 다 찾았는데도 바위왕도마뱀이 다음 방으로 이동할 생각을 하지 않은 것이다. 도마뱀은 나머지 네 번째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편하게끔 끝을 물고기처럼 초승달 모양으로 변화시켰다.중력으로부터 몸이 자유로워지자 몸집이 커진 탈라토수쿠스류도 있었다. 영국의 후기 쥐라기 킴머리지클레이층에서 발견된 플레시오수쿠스는 몸길이가 거의 7m나 되는 거구다. 과학자들은 플레시오수쿠스가 오늘날의 범고래처럼 바다를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챔피언 판후이 5단과 대결할 때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이세돌 9단의 패배가 확실해지자 행사장은 찬물을 끼얹은 듯 침체된 분위기로 바뀌었다. 결국 이세돌 9단은 186수만에 돌을 던졌다★. 알파고를 만든 구글의 인공지능 개발사 ‘딥마인드’의 CEO 데미스 하사비스는 “우린 달에 착륙했다”는 ...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쥐를 싫어했고, 고양이는 쥐를 잡았습니다. 고양이 때문에 쥐가 점점 살기 힘들어지자 쥐들의 왕 ‘스파키’는 한 가지 계략을 꾸몄습니다. ‘고양이가 흑사병을 옮긴다’는 소문을 퍼트려 인간 세상에서 고양이를 추방하려고 했지요.스파키가 퍼트린 소문에 속은 인간은 고양이를 미워하기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2국이 끝난 뒤, 검토과정에서 흑이 어렵지 않게 비길 수 있는 길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카스파로프는 더욱 동요했다. 3~5국을 어렵게 비긴 뒤 맞이한 마지막 대결에서 카스파로프는 초반에 간단한 수순을 착각해 한 시간 만에 항복했다.이세돌이 무너진다고 바둑이 무너지는 것은 아니다당장은 ... ...
- Part 2. 닭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키우기 시작했죠. 이후 닭은 살이 많은 가슴 부위가 발달하게 됐고, 결국 날기 힘들어지자 땅 위 생활에 적응했어요.가축용 닭의 품종개량은 190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시작됐어요. 고기를 제공하는 ‘육계’, 달걀을 생산하는 ‘산란계’, 애완용인 ‘관상계’ 등 다양한 종류가 등장했지요. 그 중 ... ...
- 드론 미래를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지배하고 있던 오스트리아군에 맞서는 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해요. 이 운동이 점점 거세지자, 오스트리아군은 베네치아 주변의 육지와 바다를 모두 포위해 도시의 출입을 굳게 막았어요. 그 결과 베네치아에는 배고픔이나 질병과 같은 고통을 겪는 사람들이 늘기 시작했지요. 그럼에도 베네치아 ... ...
- [교과연계수업] 팔방미인! 드론 파헤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지배하고 있던 오스트리아군에 맞서는 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해요. 이 운동이 점점 거세지자, 오스트리아군은 베네치아 주변의 육지와 바다를 모두 포위해 도시의 출입을 굳게 막았어요. 그 결과 베네치아에는 배고픔이나 질병과 같은 고통을 겪는 사람들이 늘기 시작했지요. 그럼에도 베네치아 ... ...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배 양옆에 있었다면 포를 쏠 때마다 배가 뒤집혔을 것이다. 그래서 천자·지자총통은 2층과 3층 전면에 배치했을 걸로 예상된다.Q 거북선의 상징인 등껍질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 있나A 흔히들 거북선의 등껍질이 돔구장처럼 완전히 덮인 모양일 것이라고 오해한다. 그러나 그렇게 거북선을 만들었다면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클로비스에서 발견된 창촉 같이 날카로운 도구가 발견되지 않아서다. 논란이 거세지자 1997년 고고학자 12명이 몬테 베르데와 클로비스 유적을 재조사했다. 이들은 몬테 베르데가 클로비스보다 앞선 1만4000년 전의 유적이라고 인정했고 클로비스의 시대는 끝이 났다.신대륙인은 어떻게 칠레까지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