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소"(으)로 총 2,635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일정 관리도 스마트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됩니다. 아주 간단해요. 많은 캘린더 앱은 특별한 지식이 없어도, 안내에 따라서 시간, 장소, 계획을 자세히 입력할 수 있어요. 캘린더 앱에 따라서는 첨부파일이나 링크, 지도 서비스와 연결된 위치 정보 등을 등록하여 좀 더 자세하게 계획을 세울 수 있고요. 또, 친구와 일정을 공유할 수도 있죠. ... ...
- [Space Math] 지구 밖으로 나간 AI, 우주 정착 앞당긴다!수학동아 l2023년 05호
- AI 이용하는 인간의 통찰력이 중요 최근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결과를 만들어내는 ‘생성형 AI(인공지능)’가 화제다. 대화형 AI로 유명한 ‘챗GPT’도 그중 하나다. ... 지구 궤도를 벗어난 사례다. 이 AI는 카메라에 잡힌 달 표면 영상을 즉시 분석해 위험 장소를 피해 안전하게 주행한다 ... ...
- [뉴스&인터뷰] 도전, 우주로 가는 길을 만드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않았다. 이노스페이스는 재사용발사체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발사된 발사체가 착륙 장소까지 정확하게 내려와야 해, 자세제어와 항법유도 기술의 정밀도가 높아야 한다. 공 주임연구원은 “길이 보이지 않아도 빠른 기술 발전이 과거엔 불가능하던 것들을 오늘날엔 가능하게 만들어준다”며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호기심에는 나이도, 종도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유년기가 지난 보르네오 오랑우탄과 수마트라 오랑우탄은 엄마에게서 독립해 낯선 장소를 혼자 탐험하는 데 익숙하다. 호기심을 발휘해 새 정보를 적극적으로 얻는 데도 거부감이 크지 않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침팬지와 보노보는 유년기 이후에도 함께 과일을 먹거나 털 고르는 시간을 종종 ... ...
- [가상 인터뷰] 핵폭발이 일어나면 ‘방구석’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가장 피해야 할 곳은 창문, 복도, 문이에요. 핵폭발이 일어날 경우 사람들은 이러한 장소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방의 구석으로 빠르게 이동해야 하죠. 핵폭발 직후 폭풍파가 실내에 있는 사람에게 가하는 힘을 계산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번 연구는 핵폭발로 인한 부상을 예방하고 콘크리트 ... ...
- [기획] UFO? 아닙니다. 과학 임무 중인 풍선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풀고자 이 교수팀에 합류했던 강정표 해군 항공사령부 중령은 “국내에서는 마땅한 발사 장소가 없어서 영덕 축산항 방파제에서 발사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1875년 프랑스 열기구 조종사인 조셉 크로스 스피넬리와 테오도르 시벨은 분광기를 들고 열기구에 올랐다. 이들은 지구 수증기의 기원이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정신과 원장이 되어 환자를 치료해봄 HELP ME!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접근할 수 있는 게임을 통해 정신과를 소개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어요. 정신과란 장소를 소개하고, 진료 과정은 물론 어떤 치료법을 처방하는지도 보여드릴 수 있겠다고요. 성인이지만 부모 눈치가 보여 병원에 몰래 찾아왔다는 환자도 있어요. 아직 정신의학과에 관한 선입견이 많이 남아있거든요. ... ...
- [이달의 책] 경쾌하게 반박한 동물에 관한 속설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에너지를 공간이 간신히 견디는 듯한 평범한 글쓰기 센터나 도서관과 달리, 이 책 속 장소들은 진심을 다해 아이들을 환대한다. 아이들의 눈높이로 만들어진 공간이어서다. 글쓰기 센터와 함께한 상업시설은 공간의 매력을 부각시키고 더욱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 글쓰기의 속성, 자기 표현이 ... ...
- 서울대 표본실 곰팡이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있다. 그래서 여기저기서 채취한 곰팡이 샘플을 1차로 순수배양을 한다. 우리는 총 21개 장소 및 대상에서 곰팡이를 채취했다. 배지(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해 살균시킨 영양원)에 곰팡이를 배양한 다음, 자라는 모양을 확인해 모양이 다른 것들을 하나씩 골라내는데 그걸 균주라 부른다. 총 365개였다. ... ...
- DARE MIGHTY THINGS 위대함에 도전한 사람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소련의 냉전은 1990년대에 끝났다. 이제 우주는 경쟁을 위한 장소가 아닌 협력을 위한 장소가 됐다. 미국과 러시아는 영국, 프랑스, 일본 등과 함께 지표면으로부터 약 400km 떨어진 우주에 국제우주정거장(ISS)을 만들었다. 2000년 11월 2일, ISS에 첫번째 장기 투숙객이 들어왔다. 미국의 윌리엄 셰퍼드,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