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해"(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방정식으로 외계인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지식이 없는 지금, 외계 생명체를 찾는 길잡이다. 앞으로 인류가 외계 생명체를 만나기 위해 어떤 것을 연구해야 할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외계 생명체를 찾을 수 있다는 희망도 보여주기 때문이다. 우주에 생명체가 얼마나 있을까? 시거 방정식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에 생명체가 있는지만 ... ...
- [신의 책] 개념을 명확히 모르면 생기는 일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될까요? 아니면 1보다는 작고 0.99999…보다는 큰 수가 따로 있을까요? 이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등비수열과 그 합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게요. 이와 같이 수열의 항이 1/10배씩 줄어들면, 초항이 0.9고 등비가 1/10인 등비수열이 돼요. 0.99999…는 이 등비수열의 합과 같지요. 일반적으로 초항이 a이고 ... ...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시스템을 보완하고 싶습니다. 현재는 평가 기준이 논문에 치중돼 있어서 성과를 내기 위해 연구자들은 임팩트 팩터(IF)가 높은 논문을 쓰는 데에 집중합니다. IF가 높은 논문을 쓰려면 새로우면서도 핫한 분야의 연구를 진행해야 하다보니 대학원생의 전공이 한국 제조업 기반 기업들의 기술과 많이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그가 화학이라는 학문에 본격적으로 재미를 느낀 것은 대학생 시절. 장학금을 받기 위해 물리, 전자공학, 화학 등 모든 기초과학 분야의 공부에 매진하면서다. 그 과정에서 그는 자연스럽게 화학이 모든 과학을 연결해주는 고리라는 점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물이라는 화합물에 전기를 가하면 ...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할 거냐? 여기 계속 있을 건 아니지?” 유 교수는 다른 곳으로 끌려 갔다. 나는 벗어나기 위해 그에게 키트를 보여 주려 했다. 키트만 보면 놓아줄 것이라 믿었다.“조용히 좀 해요.” 그때 뒤편에서 날카로운 목소리가 날아들었다. 누군가에게는 배부른 소리로 들릴 게다. “죄송합니다.”로 끝날 ... ...
- [JOB터뷰] 다친 문화재, 진단부터 치료까지....이태종 문화재보존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다시 일어나선 안 될 안타까운 일이죠.” 경복궁 담벼락에 생긴 낙서를 지우기 위해 달려갔던 이태종 문화재보존가는 그때의 심정을 전했습니다. 돌로 만들어진 석재 문화재를 연구하는 이 문화재보존가는 당시 낙서 제거 팀을 이끌었어요. “급히 꾸려진 팀을 이끌고 낙서 현장에 도착했을 땐 ... ...
-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보완했다. 3차원 구를 감싸고 있는 2차원의 구면을 최대한 같은 간격의 격자로 나누기 위해 ‘육면체구’ 모양을 사용했다. 육면체구를 볼록 사각형 6개로 나누면 거의 같은 간격으로 조각낼 수 있어 계산의 정확도가 올라간다. 육면체구는 정육면체에 바람을 불어넣어 구 형태로 부풀린 도형이다. ... ...
- 미리 알고 태풍 피해 막기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이용해 가장 가능성이 큰 이동 경로를 예측한다. 기상청에서는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방정식을 조금씩 변화시킨 여러 가지 모형을 한꺼번에 사용하는 ‘앙상블’이라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여러 모형에서 나온 결과를 통계적으로 처리해 태풍에 대해 예보한다. 슈퍼컴퓨터의 예측 ... ...
- 3년의 사투, 코로나19 팬데믹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일치했다. 수학으로 찾은 합리적인 거리 두기 2020년 초 전 세계는 코로나19를 타파하기 위해 사적 모임과 다중 이용 시설 출입을 통제하는 등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했다. 전기 공학자 아리 네호라이를 주축으로 한 연구팀은 SEIR 모형을 확장한 코로나19 예측 모형을 개발해 합리적인 거리 두기 ... ...
- 수학은 명탐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공간좌표가 돼 2차원 평면의 혈흔으로부터 3차원 공간의 답을 찾을 수 있다. 혈흔 분석을 위해서는 먼저 혈흔의 형태를 살펴보고 분석할 혈흔을 추린다. 이때 원보다는 타원에 가까울수록, 혈흔의 개수가 많을수록 좋다. 타원에 가까운 혈흔일수록 방향성이 뚜렷하고, 혈흔이 많아야 방향성 직선을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