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한 행성 맨틀 아래 남아있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그래서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충돌 상황을 재현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우주로 날아간 지구와 테이아의 잔해가 섞여 달이 만들어졌고, 지구에 남은 테이아의 일부는 지구의 상부 맨틀과 섞였다. 나머지 일부는 하부 맨틀에서 섞이지 않고 큰 덩어리로 남아 가라앉았다. 지금까지 LLVPs의 ... ...
-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어긋난 사건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연구 결과는 우주론의 표준모형이 우주에서 가장 놀라운 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했다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어떤 연구든 돈과 시간을 포함한 자원이 든다는 사실을 쉽게 잊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같은 거대 과학 프로젝트든, 한 두 명의 연구자가 소소하게 진행하는 연구든, 모든 과학 연구에는 돈이 듭니다. 하지만 돈은 무한하지 않습니다. 과학 연구를 후원하려는 단체들은, 어떤 목적을 위해 어떤 ...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들 사이의 공간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한 근원에서 태어난 한 쌍의 입자는 서로가 우주 양끝에 있어도 한쪽이 변화하면 다른 쪽에 즉각 영향을 미친다.교수는 ‘마더’가 과거와 미래의 인물들을 연결 짓는 데에 이 양자 얽힘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현재 알려진 ... ...
- [과학사] 우리나라 첫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1호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아리랑 1호가 발사되며 마침내 우리나라도 다양한 관측을 통해 우주 기술 발전에 박차를 가할 수 있었지요.아리랑 1호는 중량 470kg, 높이 2.3m, 너비 1.3m, 길이 6.9m의 거대한 위성입니다. 아리랑 1호에는 전자 광학 카메라, 해양 관측 카메라, 이온층 측정기, 고에너지 입자 검출기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다누리 미니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고해상도 카메라, 달의 어두운 부분을 촬영하는 섀도 캠, 우주에서의 통신을 위한 우주 인터넷, 달 표면의 자원을 탐사하는 감마선 분광기, 달의 자기장을 분석하는 자기장 측정기, 달 표면 입자를 분석하는 광시야 편광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다누리는 2025년 12월까지 달 궤도를 돌며 다양한 ... ...
- [양궁상] 청동기 화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손상되지 않도록 감마선을 투과해 성분을 분석했어요. 분석 결과, 철과 니켈 외에도 우주에서만 형성되는 동위원소인 알루미늄-26이 확인됐지요. 그런데 청동기인들은 철광석을 녹여 순수한 철을 얻어내는 기술이 없었어요. 운석이 떨어진 곳 근처에서만 철을 사용한 흔적이 발견됐습니다.연구팀은 ... ...
- [통합과학교과서] 달 도둑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NASA)은 달에 사람이 살 수 있도록 기지를 건설하는 계획을 세웠고, 유럽우주국(ESA)도 사람이 살 수 있는 ‘달 도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죠.달에 사람이 살려면 몇 가지 필수 조건이 있어야 합니다. 첫 번째는 물이에요. 2020년 NASA가 달 남극에 물이 분자 상태로 있다는 걸 알아낸 뒤로, 각국의 달 ... ...
- 비결은 어과동? 한도하 독자, 2023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국무총리상 수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한도하 독자의 이야기는 전국에 널리 알려졌지만, 정말로 인터뷰하고 싶은 곳은 따로 있었다고 해요. 그건 바로 어과동! 유치원 때부터 지금까지 하루도 빠짐없 ... 로켓에 실려 우주로 갈 때마다 억울했어요. 나중에 우주 기술 연구원이 돼서 우리나라를 우주 강국으로 만들고 싶습니다 ... ...
- [이달의 우주날씨] 메시에 목록의 시작, 게 성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완성됐답니다. *“굿바이 과학동아천문대!”지난 10년간 도심에서 사람들에게 아낌없이 우주를 보여주었던 과학동아천문대가 2024년 1월 마무리됩니다. 그동안 과학동아천문대를 사랑해 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