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세상에 필요 없는 것은 없다니까요! ❋필자소개임재한. 항공
우주
엔지니어. KAIST 항공
우주
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대학 졸업 후 드론의 자동 비행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엔지니어로 일했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dlawogks2005@gmail ... ...
‘혹등언어’로. 외계 생명과 대화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SETI(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는 언젠가 올 수도 있는 ‘그날’을 대비하며,
우주
의 전파를 분석하고 외계 지적 생명체의 존재를 탐색하는 기관입니다. 최근, SETI가 그 노력의 일환으로 혹등고래와 20분 동안 대화(?)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고래와 어떻게 대화를 했는지, 고래와의 대화는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 원 작가는 지금까지 만든, 그리고 앞으로 만들 인터스텔라 메시지를 언젠가
우주
로 쏘아 올리고자 합니다. “저처럼 지구 바깥에 있을 또 다른 문명과 생명에 호기심이 많은 분들과 함께 이야기 나눌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께서는 그들에게 어떤 말을 건네고 싶으신가요?” ... ...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한국항공
우주
연구원장상을 수상한 유나무 작가의 ‘김민지 지구로 돌아오다’는
우주
로드무비다운 캐릭터들의 개성과 서사의 흡입력으로 시종일관 긴장감을 유지하는 작가의 역량이 돋보였다 ... ...
[4컷만화]
우주
에서 명중! 레이저로 통신 성공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먼
우주
를 여행하는
우주
선과는 어떻게 교신할까요? 2023년 11월 16일,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은
우주
에서 보낸 레이저를 미국 팔로마 천문대에 ... km 떨어진 거리에서 도전해 성공한 거예요. 이전 최고기록은 2021년 발사한 아르테미스 2
우주
선이 성공한 달과 지구 사이(약 38만 km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이 자세 따라하면 똥이 나온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감지된
우주
선의 에너지는 이론상 가능한 수치보다 5배나 크다고 분석됐어요. 과연 이
우주
선은 어디에서 온 걸까요? 영화 에서 거대한 몸집으로 등장한 모사사우루스를 알고 있나요? 모사사우루스는 중생대 백악기 바다의 최상위 포식자로, 종마다 크기가 다양하다고 알려졌어요. ... ...
[과학뉴스]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한 행성 맨틀 아래 남아있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그래서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충돌 상황을 재현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우주
로 날아간 지구와 테이아의 잔해가 섞여 달이 만들어졌고, 지구에 남은 테이아의 일부는 지구의 상부 맨틀과 섞였다. 나머지 일부는 하부 맨틀에서 섞이지 않고 큰 덩어리로 남아 가라앉았다. 지금까지 LLVPs의 ... ...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어긋난 사건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연구 결과는
우주
론의 표준모형이
우주
에서 가장 놀라운 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했다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이들 사이의 공간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한 근원에서 태어난 한 쌍의 입자는 서로가
우주
양끝에 있어도 한쪽이 변화하면 다른 쪽에 즉각 영향을 미친다.교수는 ‘마더’가 과거와 미래의 인물들을 연결 짓는 데에 이 양자 얽힘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현재 알려진 ... ...
나무로 만든 인공위성이 온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완전히 노출돼 있고, 온도가 영하 270℃에서 영상 100℃ 이상까지 수백 도씩 오르내리는
우주
에서 목재가 다른 재료보다 잘 버틴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목재를 활용하려는 시도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국립산림과학원의 2023년 연구과제 제안에서도 목재의 고부가가치 활용을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