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앞뒤"(으)로 총 5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종목3] 루지, 이미지 트레이닝도 VR로 실전처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분석 결과 허벅지 앞부분의 길게 뻗은 근육인 대퇴직근은 코스에 따라 시뮬레이터의 앞뒤 방향 기울기가 커지면서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근육 활성이 최고 30.54% 증가했다. 정강이 뒷부분의 두 갈래로 나뉜 비복근 역시 경사에 따라 근전도가 최고 30.52% 증가했다. 비복근 아래에 있는 ... ...
- [매스미디어]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만든 회전 날개 수십 개가 빙빙 돌고, 바닥의 긴 나무 막대는 바람 위에서 노를 젓듯 앞뒤로 움직입니다. ‘하늘을 나는 기계들’에서 가장 큰 비행체의 모습입니다. 커다란 비행체 주변에는 대나무로 만든 여러 가지 모양의 비행체가 더 있습니다. 모두 미야자키가 1986년에 만들었고 우리나라에선 2 ...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로터’라 불리는 반달 모양의 금속이 있다. 시계를 차고 움직이면 중력에 따라 로터가 앞뒤로 회전하며 자동으로 태엽을 감는다. 이외에도 기계식 시계의 추가 기능은 다양하다. 평년과 윤년, 매달 날짜 수가 바뀌는 달을 자동으로 계산해 날짜를 알려주는 ‘퍼페추얼 캘린더’, 깜깜한 밤에도 ... ...
- [가상인터뷰] 최고의 달리기 선수 치타, 멸종 위기에 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72km의 속도를 낼 수 있고, 최고 시속 132km로 달릴 수 있지.우리가 이렇게 빠른 건 등뼈가 앞뒤로 빨리 움직이기 때문이야. 뭐, 체온이 너무 올라가서 최고 속도로는 200~300m 정도밖에 달리진 못하지만…. 그리고 우린 사납게 생긴 외모와는 달리 인간들과 친근하게 지내왔어. 그래서 과거부터 우리를 ...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걷지 않는 로봇을 만들면 어떨까 생각했어요. 이 로봇은 ‘나비’입니다. 두 다리가 앞뒤가 아닌 양옆으로 움직이도록 설계했지요. 마치 꽃게처럼 옆으로 걷는 거예요. 그럼 골반이 흔들리지 않고, 돌림힘도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나비가 걷는 방향을 알려 주기 ... ...
- Part 1. 핵실험, 지진을 일으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인공지진과 자연지진은 지진파의 형태로 구별할 수 있어요. 자연지진은 지진파 중 땅을 앞뒤로 흔드는 P파가 먼저 도달하고, 그 뒤를 이어 S파가 땅을 위아래로 더 세게 흔들며 도착해요. P파는 초속 6~8km, S파는 초속 3~4km로 속도 차이가 나기 때문이지요. 한편 인공지진은 강한 P파가 도착한 뒤, ... ...
- [과학뉴스] 지진 나면 공중부양하는 건물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맨눈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울 만큼 얇은 공기층이에요. 하지만 이를 통해 좌우 또는 앞뒤로 흔들리는 지진의 진동을 차단할 수 있어요. 연구팀은 일본 효고현 미키시에 있는 ‘이 디펜스’라는 대규모 진동 실험실에서 이 장치를 실험해 봤어요. 과거 일본에서 일어난 대규모 지진들과 같은 강도의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근시가 얼마나 심하면 병일까?근시는 성장기에 안구가 커지면서 비정상적으로 앞뒤로 길쭉해지는 병이다. 근시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실명까지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성장기가 끝나면 안구의 장축이 길어지는 속도도 더뎌지기 때문이다. 문제는 고도 근시다. 의학적으로 명확한 기준은 아니지만 ... ...
- Part 3. [세 번째 사연] 동물원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시작했거든요. 1단계 동물들의 행동을 다양하게 ‘행동풍부화’혹시 동물원에서 앞뒤로 왔다 갔다 하는 코끼리를 본 적 있나요? 끊임 없이 벽을 핥고 있는 기린은요?이처럼 동물이 정해진 행동을 반복하는 경우 ‘정형행동을 한다’고 표현해요. 동물들의 주변 환경이 지나치게 단조로울 때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있는 구멍의 지름이 14cm여서 이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작게 설계했다. 연구팀은 로봇 앞뒤에 비디오카메라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달았다. 또 깊이가 6m나 되는 격납용기 속에서 연료의 잔해를 잘 찾아내기 위해 프로펠러 장치를 로봇 뒤쪽에 4개, 앞쪽에 1개를 달았다. 리틀 선피시는 앞으로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