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전
d라이브러리
"
안보
"(으)로 총 202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 계속 정신팔면 ‘모쏠’ 됩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중요한 사람과 있을 때는 그 사람에게 집중해야 해요. 내가 이야기하는데 상대방이 날
안보
면 기분 나쁘잖아요. 요즘엔 모임에 가서 다 스마트폰 해요. 왜 모였어요? 결국 자기 앞에 있는 사람에게 소홀해지죠.”(갑자기 신 교수의 아이가 궁금해졌다. 신 교수는 첫째는 군 복무 중이며, 둘째는 고2 ...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밝은 빛을 냈는데 처음에 정지 상태였다가 아주 느린 속도로 멀어지면서 흐릿해져
안보
이게 됐다” 고 말했다.필자가 운영하는 UFO조사분석센터(이하 UFO센터)가 안산에 출현한 것으로 추정되는 UFO 영상과 사진을 분석한 결과 물체는 매우 밝은 빛을 내고 있었다. 또 광원은 완전한 둥근 형태로 ... ...
주장보다 설명을 설명보다 근거를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함께 오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일부 국가에서 식량자원을 무기로 사용하면서 ‘식량
안보
’가 더욱 중요해졌죠. 이런 문제들의 해법을 생명공학에서 찾으려는 움직임도 활발합니다.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들과 함께 찾아간 농촌진흥청은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식량 문제 해결 연구에 적극적인 ... ...
“생명공학으로 식량난, 질병 해결해요”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나오고 있는 ‘애그플레이션’입니다. 세계는 지금 식량전쟁 중입니다. 우리나라도 식량
안보
가 중요한 현안이고요. 그렇다고 논이나 밭 면적을 늘릴 수도 없는 일입니다. 그래서 생명공학기술을 농업에 이용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됐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충분한 안전성 검사 등의 이유로 아직 ...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봉인해제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인간으로 전염되도록 조작하는 방법이 5월 2일 네이처에 드디어 공개됐다. 미국의 ‘생물
안보
를 위한 국가자문위원회(NSABB)’가 이 내용의 논문 공개를 보류해달라는 요청을 보낸 지 6개월 만의 일이다. NSABB의 논문 비공개 요청은 연구 결과가 생화학테러에 활용될 위험성 때문이었다(과학동아 2012년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테러 직후 미국에서는 편지로 배달된 탄저균 테러로 5명이 숨지고 17명이 감염됐다.‘생물
안보
를 위한 국가자문위원회(NSABB)’가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논문을 수정해 달라는 요청을 보낸 까닭도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서다. 위원회는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정말 공익 목적으로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도청이 불가능한 암호통신방식을 제공하므로 ‘약 주는’ 관계다. 미국의 국가
안보
국(NSA)을 비롯해 세계각국의 정보보안기관들은 암호를 풀기 위해 양자컴퓨터의 개발에, 절대안전한 암호통신을 하기 위해 양자암호의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디지털 정보에서 양자정보로의 전환은, 실수의 수학에서 ... ...
“북한 비대칭 전력 첨단과학으로 막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스치며 달아나는 반잠수정도, 고무로 만든 공기부양정도 모두 공격할 수 있게 되니 서해
안보
에 큰 도움이 될 겁니다.”백 소장은 또 “최근 개발 사실이 공개된 한국형 공중요격 미사일인 ‘‘철매’도 마찬가지”라며 “이런 첨단기술이 북한과의 비대칭 전력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에너지 전쟁 손자병법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산유국의 정세 변화에 민감하다. 이런 상황에서 원자력 발전은 우리나라 에너지
안보
의 효자 역할을 한다. 물론 원자력 발전의 연료인 우라늄도 수입한다. 하지만 원자력 발전 총 비용에서 연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0% 내외로 크지 않아 나머지 기술적 부분을 국산화하면 큰 문제가 없다.원전 추가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미량 독성물질을 검출하고 확인하는 화학 분석기술의 빠른 발전은 개인 보호 및 국가
안보
에 큰 공헌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환경지킴이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식물의 광합성에 관한 화학적 이해가 크게 진전되고 있어 인공광합성의 날이 다가오고 있다. 햇빛과 물, 이산화탄소로 탄수화물을 대량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