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출량
수확고
수량
생산고
d라이브러리
"
수확량
"(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1).10. 공장자동화용 표준 통신방식(MAP 네트워크 등) 기술이 보급된다(2001).농림수산작물의
수확량
은 그 작물이 갖는 양적 형질 외에도 내병성이나 내한성 등과 같은 부수적인 형질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형질들을 지배하는 유전자를 분리해내고 복제하는 연구가 활기를 띨 ... ...
무더위·가뭄 기상 대이변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위치하는 호주의 가뭄도 사상 최악의 심각한 상황으로 동부 지역의 주요 밀경작지에서는
수확량
이 평년의 20%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유럽지역도 폭서에 의해 지표상의 오존 농도가 급증, 영국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등에서 오존경보가 발표되는 상황이다.한편 미국은 7월 초 ... ...
(2) 2050년 바닷물 넘쳐 한반도 면적 준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사용할 때 벼의 생장속도가 빨라져 영양 생장기간과 벼가 익는 기간이 크게 단축돼
수확량
은 오히려 감소하리라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차세대 벼농사의 수확증대를 위해서 온도의 변화에 비교적 둔감하고, 영양 생장기간이 충분히 길며, 새로운 순환계 질서에 적응할 수 있는 신품종의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이 외에 벼 보리 깨 배추 등에서도 방사선에 의한 돌연변이를 일으켜 빨리 자라며
수확량
이 많고 병에 잘 견디는 품종으로 개량해 보급하기도 했다.외국에서는 나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범국가적인 지원에 의해 방사선 육종연구가 매우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현재 세계 40여개 국가가 방사선 ... ...
안개에서 물뽑아 생활용수로 이용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하루 1만5백80L에 이른다. 수도설비를 한 각 가정에 매일 1백20L의 물이 공급되는 정도의 '
수확량
'이다.단 안개가 적은 가을과 겨울에는 며칠간 단수가 있기도 한데, 이전에 겪었던 물부족 사태를 생각하면 마을사람들에게는 그리 큰 문제가 아니라고 한다.한편 안개가 많을 때는 물 채수량이 망 1㎠당 3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화학비료와 농약 위주의 기존농법으로는 아무리 재배를 잘 해도 따라올 수 없을 만큼
수확량
이 늘어난다.예를 들어 미니토마토를 기존농법으로 재배하면 한 가지에서 30개 정도밖에 수확하지 못하나 EM농법을 쓰면 1백-1백50개 정도가 매달린다. 오이도 기존농법으로는 한 마디에서 1개밖에 수확하지 ... ...
쌀, 아미로스 성분 적을수록 찰기 많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칼로스의 종자를 우리나라에 가져와 시험재배해본 결과 도열병에 아주 약해
수확량
이 뚝 떨어졌다"고 밝혔다.그런데도 칼로스쌀이 '맛 좋은 쌀'로 통하는 것은 값이 싼 데다 일부 부유층의 외제를 좋아하는 소비심리 때문이다.수입쌀에 맞설 수 있는 우리쌀의 비장의 카드는 무공해쌀로 꼽힌다.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시도되지 않고 있다. 그 결과가 보잘것 없었기 때문이다. 가령 포마토의 경우 개체는
수확량
도 없고 종자도 생기지 않았다"고 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 홍주봉박사는 말한다."토마토건 감자건 모든 생물종은 긴 진화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독자적 유전자조합을 가지고 있고, 그것이 뒤섞이지 않도록 ... ...
곳곳서 기상이변 생태계 파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토마토나 오렌지가 장기간 높은 농도의 이산화질소에 노출되면 성장이 저해 되고
수확량
이 줄어드는 것도 이 때문이다.이산화질소는 만성폐질환과 어린이에게 기관지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 특히 이산화질소는 가시광선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이 분해된 물질이 대류권 하층의 탄화수소와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수 있다고 말한다. 이때 플랑크톤의 밀도는 1㎖에 5백마리 수준이다. 멀지 않아 플랑크톤
수확량
은 크게 늘어날 것이다. 타스매니아대학과 오스트레일리아의 대표적인 연구기관인 CSIRO가 공동작업을 벌여 1시간당 3.6t 동물성 플랑크톤을 얻을 수 있는 수확장치를 새로 제작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