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출량
수확고
수량
생산고
d라이브러리
"
수확량
"(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등에 효과적으로 도입된 바 있다. 식물 바이러스는 식물의 성장을 극도로 위축시키고
수확량
을 격감시키나 이를 죽이는 농약이나 효과적인 대책이 별로 없다. 그러나 바이러스 표면단백질의 유전자나 바이러스 자체의 유전자에 대한 대응유전자를 식물에 도입했더니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고 ... ...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영양기관으로 번식시키는 감자 마늘 딸기 백합 카네이션 등은 바이러스에 잘 감염돼
수확량
과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고 있는데 이 경우 조직배양법으로 얻은 종묘를 심으면 바이러스 관련 질병이 크게 줄게 된다.실제로 농촌진흥청 원예시험장과 고냉지시험장에서는 감자 마늘의 조직선단부를 ... ...
농약 대신에 논거미로 농사짓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수확량
을 조사, 논거미농사의 가능성을 타진해볼 계획이다. "올해 당장은 논거미쪽이
수확량
이 처지겠지만 생태계의 균형이 잡히면 논거미농사도 가능성이 많다"고 김주필 박사는 말했다. 벼 한포기 당 몇마리의 논거미가 서식하며 얼마나 해충을 잡아먹는지 과학적으로 분석해볼 계획이다. 이는 ... ...
PART1 어떤 민족이 무슨 쌀을 먹나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구분해 보면 (표 1)과 같이 아시아지역이 92.2%로 기장 많다.한편 쌀 생산국의 단위 면적당
수확량
은 한국과 일본이 세계에서 제일 많고 그 다음이 호주 미국 중국 순으로 많이 생산되고 있다.우리가 음식을 통해 인체에 공급한 총 칼로리중 쌀에 의해 섭취되는 칼로리(열량) 비율은 (표 2)에서 보는 바와 ... ...
기온변화가 세계사를 뒤바꾼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뿐 아니라 많은 고분과 농경지 유적이 드러나게 되었다.빙산도 덩달아 북상했다. 대구의
수확량
도 1946년에는 1천3백t에 이르렀다. 이는 1910년에 비해 2천5백배나 증가한 수치다. 노르웨이로부터의 석탄 반출량도 크게 늘었다. 아울러 채굴작업 시간도 두배 이상 연장됐다.실제 관측상으로 지구가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발달한 것도 그들의 식량사정과 결코 무관한 일이 아니다. 그곳은 토양이 척박하고 단위
수확량
이 적었기 때문에 영주제를 통한 대규모의 농업이 성행했다.또한 신대륙으로 청교도들이 이주한 이면을 들춰 봐도 먹는 문제와 무관하지 않음을 금세 알 수 있다. 당시 영국의 영주들은 유럽대륙으로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개발 등 인류 보건의 증진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중이다. 농·수산·식품·영양분야에서도
수확량
의 증대, 새로운 식량자원의 개발 또는 질적 향상 등과 관련된 단백질연구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외의 연구현황단백질연구의 중요성을 확실히 인식하고 있는 과학선진국에서는 이미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민태익 유익동박사팀). 콩을 파종할 때 종자에 이 미생물비료제를 접종해 주면 콩
수확량
이 약 10%증가된다고 한다. 게다가 이 비료를 사용하면 토양에 큰 부담이 되는 질소비료를 '거부'할 수 있으므로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를 나타낸다.나도선 유향숙박사팀의 림포톡신(lymphotoxin) 대량생산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방법이 있다. 이를테면 건조지작물과 다수확작물의 세포융합으로 가뭄에도 견디고
수확량
도 많은 작물을 개발하려는 것이 그 예다.이러한 세포융합 시도는 식물간 뿐만 아니라 동물세포간에 혹은 동물세포와 식물세포간의 융합까지도 포괄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의 브룩해븐(Brook Haven ... ...
Ⅴ 식물호르몬─생로병사의 열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이 병의 주된 증상은 미감염 식물보다 엄청나게 크게 자라서
수확량
이 떨어진다는 것이다.금세기 초에 이 병은 곰팡이의 일종이 일으키는 감염으로 밝혀졌다. 이 곰팡이의 감염성을 연구하던 일본의 구로사와가 1926년에 지금은 지베렐린으로 판명된 단일 화학물질이 원인임을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