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경사면
옆
said
side
sided
syed
d라이브러리
"
사이드
"(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미백 화장품, 얼마나 효과있나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만드는데 관련된 효소인 티로시나아제가 활성화되는 것을 막는다. 아스코빌글루코
사이드
와 에칠아스코빌에텔,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는 티로시나아제 효소에 자극받은 티로신이 산화되는 것을 막아준다. 최근 미백 물질의 대세라는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이미 생성된 멜라닌이 ... ...
운동 많이 하면 뇌가 커진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하면 운동을 관할하는 뇌가 커진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테오도르 갈란드 미국 UC 리버
사이드
교수팀은 운동을 많이 하며 자란 생쥐일수록 중간뇌가 크다는 연구 결과를 ‘실험생물학 저널’ 1월 1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자발적으로 운동을 열심히 하는 쥐와 보통 쥐의 뇌 부피와 질량을 ... ...
트랜스포머 꿈꾸는 변신공학 "날개만 접으면 나는야 최강 전투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바뀌어야’ 하고, 둘째로 변신이 끝나면 용도가 달라져야 한다. 주차할 때 자동차
사이드
미러가 자동으로 접히는 것은 첫 번째 조건을 만족하지만 두 번째 조건은 만족하지 않아 제대로 된 ‘변신’이라고 보긴 어렵다.변신기법1 "접는다"가변익 항공기변신의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 ‘접기’다. ... ...
[knowledge]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이상희서울대 고고미술사 학과와 미국 미시건 대 인류학과를 졸업 한 뒤 2001년부터 UC리버
사이드
인류 학과 교수로 재직하 고 있다. 전공은 고 인류학이며 인류의 두뇌 용량의 변화, 노년의 기원, 성차의 진화 등을 연구하고 있다. 암벽화, 화살 촉 등 유적을 자료화 하는 연구도 진행 중 이다 ... ...
사각지대 없는
사이드
미러 발명!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됐다.그러나 미국에서는 이 거울을 당장 사용할 수 없다. 안타깝게도 미국에는 운전자 쪽
사이드
미러가 평평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연구를 이끈 앤드류 힉스 교수는 “하루빨리 규정이 바뀌어 앞으로 사각지대가 원인이었던 교통사고 발생률이 크게 줄어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최초의 화가는 4만 800년 전?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네안데르탈인의 예술성에 대해서는 아직 부정적인 의견이 다수다. 이상희 미국 UC리버
사이드
인류학과 교수는 “네안데르탈인의 예술성에 대해서는 주류 의견이 정리돼 있지 않다”며 “자료로 검증하기에 불분명한 점이 많아 논쟁거리도 잘 안 되는 편”이라고 말했다.이 연구 결과는 6월 14일 ... ...
Part2. 크루즈,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방향을 좌우로 바꾼다.레전드가 옆걸음으로 부두에 닿을 수 있는 것은 ‘선측추진기(
사이드
스러스터)’라고부르는 장치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선측추진기는 배가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과 수직이 되게 설치한 보조 프로펠러로, 입항과 출항을 할 때 부두로 배를 접근시킨다. 입출항이 잦은 ... ...
후각 교란해 모기 퇴치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모기의 후각 시스템을 이용하면 모기를 피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리버
사이드
캘리포니아대 아난다상카 레이 교수팀은 초파리가 이산화탄소가 많이 나오는 익은 과일에 모여들 수 있는 이유를 연구했다. 초파리는 원래 이산화탄소를 싫어하지만 과일에서 내는 ‘1-헥사놀’ 같은 ... ...
네안데르탈인, 정말 현생인류 만났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생존기간과 수천 년 겹친다”고 말했다(23쪽 그래픽뉴스 참조).이상희 미국 리버
사이드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메즈마이스카야 동굴의 연대는 원래 논란이 많았기 때문에 단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인류가 속한 ‘호모’ 속의 역사를 고치다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 사이에 유전자 교류가 있었다는 연구 결과는 현생인류가 속한 ‘호모’ 속의 가계도를 다시 써야 함을 의미한다. 최신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호모 속과 그 이전 인류의 가계도를 새로 그려보자.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도 짚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