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드"(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멀티는 2020년 독일 베를린에 세워지는 ‘이스트사이드 타워’에 설치될 예정이다. 초고층건물에서 바라본 우주대기권을 뚫고 우주까지 높아진 초고층건물을 상상해보자. 초고층건물 꼭대기 우주전망대에서 지구를 내려다보고, 우주를 바라보는 상상을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선수는 “경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식기술이 크게 5가지 정도가 있다”며 “넘기는 힘(사이드 프레셔), 당기는 힘(백 프레셔), 내리 누르는 힘(다운 프레셔), 들어 올리는 힘(업 프레셔)을 적절히 써야 한다”고 말했다(아래그림 참조). 김영관 전남대 체육교육과 교수는 이러한 기술이 근신경학적 ... ...
- [Issue] 미백 화장품으로 하얀 피부 만들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멜라닌을 만드는 데 관련된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막습니다.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와 에칠아스코빌에텔,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는 티로시나아제 효소에 자극받은 티로신이 산화되는 현상을 막아주고요.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이미 생성된 멜라닌이 ... ...
- 심판이 볼 수 없다면 수학이 본다! 심판 판정 돕는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않았는데 넘어지는 할리우드 액션, 매 경기마다 한두 번쯤 나와도 이상하지 않은 오프사이드 논란 등이 끊이질 않지요. 90분 동안 하프타임을 제외하면 쉬지 않고 진행하는 경기의 특성상 매 순간 일어나는 모든 일을 파악하는 건 대단히 힘든 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축구계는 최근까지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58초 뒤 지구로 돌아와 케네디우주센터의 랜딩 존 1, 2에 사뿐히 내려앉는 데 성공했다. 사이드로켓이 분리되고 34초 뒤 코어로켓도 분리됐다. 코어로켓은 바다를 착륙 지점으로 삼고, ‘나는 물론 여전히 너를 사랑해(Of Course I Still Love You)’라는 이름의 무인 해상 플랫폼에 안착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 ...
- [과학뉴스] 갯가재의 강력 펀치 비밀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입지 않는 이유가 밝혀졌다. 데이비드 키사일러스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UC리버사이드) 화학및환경공학과 교수팀은 갯가재의 앞다리에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는 독특한 구조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월 1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갯가재의 다리를 긴 나선형 ... ...
- [과학뉴스] 지구 생명체 기원의 ‘미싱링크’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인산화시키는지 실험했다. 그 결과 DAP는 물이나 반죽 상태인 RNA의 구성성분 뉴클레오사이드 네 가지를 각각 인산화시켰다. 또 초기 지구에 존재했던 유기화합물인 ‘이미다졸’과 물이 섞인 DAP는 지질의 구성 성분인 글리세롤과 지방산을 효율적으로 인산화시켰고, 그 결과 세포소기관 중 하나인 ...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환경적인 요소도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 씨가 체험한 화장품에는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와 알부틴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는데, 이 두 성분은 자외선으로 인해 활성화되는 티로시네이즈 효소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과정을 방해한다. 최지예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효능연구팀 ... ...
- [과학뉴스] 달고 기름진 식단이 살찌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자극된다는 연구 결과가 학술지 ‘생리학과 행동’ 1월 11일자에 실렸다.미국 UC리버사이드 의생명과학과 니콜라스 디파트리지오 교수팀은 지방이 많은 서구식 식단은 ‘엔도카나비노이드 시스템’을 작동시켜 식욕을 더 왕성하게 한다고 설명했다.엔도카나비노이드는 뇌를 포함한 우리 몸 전체에 ... ...
- [Origin] 지루한 기본맛? 반전의 향료 바닐라과학동아 l2017년 02호
- 2014년 녹색 바닐라 열매 안의 특정 세포가 효소로 작용해 자유 페룰산을 바닐린 글루코사이드로 바꾸면서 바닐라 향이 난다는 것을 발견했다(DOI:10.1038/ncomms5037).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 변형 효모를 이용해 바닐린을 생산할 수 있었다. 식물유전학자들은 이 같은 연구를 통해 바닐린을 더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