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체 해부
검시
지푸라기
지푸래기
지프라기
초개
검불
d라이브러리
"
부검
"(으)로 총 103건 검색되었습니다.
불치병에 멍에 벗긴 당뇨병 치료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1901년 발표됐다. 미국의 병리학자 린제이 오피는 당뇨병으로 죽은 환자들의 시신을
부검
한 결과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에 어떤 병리적인 변화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만일 사람 췌장의 기능이 정상이라면 당뇨병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췌장에서 분비되는 어떤 물질(인슐린)을 분리해낼 수 ... ...
성인 뇌세포 세계 최초로 시험관 배양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산 사람의 뇌를 꺼내 상세히 조사하는 일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환자가 사망한 후
부검
을 하고 나서야 뇌에 어떤 이상이 왔는지 알수 있습니다." 파킨슨병 수술에 12명의 뇌 필요뇌를 꺼내지 않고 살아있는 뇌세포의 생리를 연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시험관에서 기르면 된다. 알츠하이머병이 ... ...
죽은 자도 말을 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항상 그 사인이 익사인지 아니지를 먼저 구별해야 한다.물에서 발견된 시체의 외
부검
사를 시행할 때 법의의사들은 특히 주의를 기울인다. 인체의 피부에 생긴 손상은 피부가 물에 젖게 되면 잘 보이지 않게 변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작은 손상이라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아무리 급해도 ... ...
② 자연요법7: 영양요법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뇌졸중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과거 한국전쟁이나 월남전에서 전사한 젊은 미군들을
부검
한 결과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이미 동맥경화증의 초기 증세가 나타나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육식 중심의 서구식 식생활의 결과인 듯하다.세째 오염되지 않은 음식을 먹으라는 것이다. 식품에 ... ...
우주원숭이 귀환 4일만에 숨져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자금지원을 받았다. 머트릭의 사인은 분명치 않은 생의학적 문제. 그가 죽자 관례대로
부검
이 시행돼 우주비행 전 몸속에 이식됐던 전극이 제거됐다.동물 학대를 반대하는 ‘동물의 인격적 대우를 위한 모임’의 회원인 매리베스는 “머트릭은 착륙 뒤 죽기까지 아마도 지옥 속을 헤맸을 것”이라며 ... ...
대책없는 광우병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병이 진행되는 과정은 이전의 CJD와 같았지만, 마지막으로 뇌파 검사 소견과 사망 후 뇌의
부검
소견이 보통 CJD와 달랐다.신종CJD와 광우병과 관련이 있다고 의심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환자들이 광우병에 걸린 소의 내장이 포함된 음식을 먹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10명의 환자중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포착됐다. 특히나 ‘로스웰 사건’ 당시에 추락한 비행접시에서 발견된 외계인의 사체
부검
현장을 기록한 흑백 필름의 방영은 큰 반향을 일으켰다. 영국에서는 ‘로스웰’(Roswell)이라는 영화까지 만들어졌을 만큼 UFO는 화제가 됐다.영화 ‘로스웰’(Roswell)은 1947년 7월에 있었던 미국 뉴멕시코주 ... ...
인체 '부품'도 재활용 시대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우려섞인 목소리도 없지 않다.이런 점을 감안, 사망자나 가족의 동의없이도 사체에 대한
부검
을 허락하고 있는 이들 나라에서도 최근 "뇌사자든 심폐사자든 피부조직을 채취할 때는 반드시 본인 혹은 가족들의 사전 동의하에 이루어지도록 법제화하자"는 운동이 일고 있다. 프랑스의 겨우 1976년 이후 ... ...
아이 엎어 재우면 돌연사 위험 크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유아 돌연사는 '설명이 불가능한 갑작스런 아이들의 죽음'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사후
부검
을 해도 그 원인을 밝혀내지 못했다. 단지 임산부의 흡연 등이 유아 돌연사의 위험 요소로 지적돼 왔을 뿐이다· 이미 19세기 노르웨이의 사회학자들은 유아 돌연사를 빈곤과 알코올 중독, 그리고 문맹과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있던 '평범한' 병리학자 토머스 하비를 찾아냈다. 하비는 아인슈타인이 타계하던 당시
부검
현장에서 따로 절개한 그의 두뇌를 커다란 사과 주스병에 담아 보관하고 있었다.아인슈타인의 두뇌에 대한 일반의 관심이 다시 한번 끓어오른 것은 1985년 버클리의 캘리포니아대 신경해부학자 마리안 ... ...
이전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