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체 해부
검시
지푸라기
지푸래기
지프라기
초개
검불
d라이브러리
"
부검
"(으)로 총 1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사건의 정황도 함께 고려해야 종합적인 사인을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
부검
의는 냉철한 판단뿐 아니라 담당 수사관과 충분히 대화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범죄자들이 똑똑해졌다. 지문을 지우고 머리카락을 치우는 것은 물론, 혈흔과 정액을 닦아내기도 한다. 사전 계획한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호 사고 때 고래의 일종인 상괭이의 사체도 여럿 발견됐어. 하지만 수의사 선생님의
부검
결과 석유때문에 죽은 것은 아니었대. 태안 앞바다가 원래 상괭이의 최대 군락지라 평소에도 종종 사체가 발견된다는 사실!조개와 고둥, 게는 석유를 싫어해~!석유 사고가 났을 때 가장 먼저 사라지는 종 ... ...
해양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부레 가 안 보이네? 이거 수상하다!근데 우리 예상이 또 틀렸어. 부레가 없는 것은 우리가
부검
하다 터뜨렸기 때문이래. 이런, 또 헛짚었군. 잠깐우럭 형제가 형제인 이유가 있다?물고기 중에는 성이 바뀌는 ‘가변성 어류’가 있다. 태어났을 때에는 수컷 또는 암컷이었다가 다른 성이 부족해지면 ... ...
‘좀비 실험실’ 죽은사람이 어떻게 노예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신경정신과 의사였던로저 말로리 박사는 좀비였던 윌프리드가 죽은 뒤 그의 시신을
부검
한 결과, 뇌가 산소부족으로 손상됐음을 확인했다. 레바논 베이루트아메리칸대 심리학과의 아르네 디에트리히교수는 “특히 전두엽이 손상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두엽은 대뇌의 앞부분에 있으며 기억과 ... ...
한국 미라에는 ‘저주’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꺼내 병원으로 옮겨왔다. 미라를 최대한 원상태로 조사하기 위해 고려대 구로병원
부검
실에서 미라를 꺼냈다. 지금까지는 야외현장에서 관 뚜껑을 열고 그대로 미라를 꺼냈기 때문에 미라가 적잖이 손상됐다.발굴 과정에서 과학적인 조사도 병행했다. 한 꺼풀씩 옷과 부장품을 벗겨낼 때마다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빠져 주술사의 명령에 따랐다고 발표했다. 좀비로 알려졌던 사람이 죽은 뒤 시신을
부검
해 뇌의 전두엽이 손상됐음을 밝힌 학자도 있었다. 가사상태 동안 뇌에 공급되는 산소의 부족이 원인으로 꼽혔다.심규원 연세대 의대 신경외과 교수는 “산소가 부족해 뇌에 손상을 입었을 경우(저산소성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976년)과 스탠리 프루시너(1997년), 두 명의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배출했지만 여전히
부검
외에는 확진할 수 있는 방법조차 없고 치료법도 없는 희귀하면서도 공포스러운 뇌질환이다. 이 책을 읽다 보면 미지의 질병에 도전하는 과학자들의 열정과 명예욕, 때때로 정치적이어서 전혀 과학적이지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식받은 원숭이는 83일간, 심장을 받은 원숭이는 179일간 각각 생존했다. 원숭이를
부검
한 결과 연구팀은 이식된 심장에서 ‘지연성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났고, 혈전(혈액세포가 뭉친 덩어리)이 생겼음을 알아냈다.초급성 면역거부반응을 해결하더라도 또 다른 문제가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이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감염된 쪽은 살아남았다) 허파 조직을 검사해보면 1918년 당시 독감으로 죽은 사람들의
부검
결과를 묘사한 기록과 비슷하다.2007년에는 사람과 좀 더 가까운 원숭이를 대상으로 비교 실험한 결과가 발표됐는데(‘네이처’ 1월 18일자) 생쥐 때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두 경우에서 과학자들이 알아낸 ... ...
석면탤크 얼마나 위험한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유해성이 공식적으로 언급된 시기는 1900년대 초로 석면공장에서 일하다 죽은 어린이를
부검
한 영국의 의사 몬태규 머레이가 폐조직에서 석면을 확인하고 석면 흡입이 사망의 원인이라고 추측했다.그 뒤 석면의 유해성에 대한 보고가 축적됐는데 ‘고농도의 석면 섬유를 오랜 기간 흡입했을 때’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