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배양기
badge
문장
배양액
d라이브러리
"
배지
"(으)로 총 142건 검색되었습니다.
식중독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세균은 생물뿐만 아니라 삶은 돼지고기, 김밥, 닭고기 등 무생물에서도 자란다. 세균을
배지
(단백질, 탄수화물, 무기물, 물 등을 섞은 미생물 영양분)에서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는 것도 이런 특징 때문이다.반면 바이러스는 스스로 살아갈 수 없다. 따라서 증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생물에 침입해 ... ...
첨단 디지털 펜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줄기의 생장점을 포함하는 경정부(莖頂部)의 배양을 경정배양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한천
배지
상에서 행한다 생물의 생장에 관여하는 호르몬 생장호르몬은 식물과 동물이 각각 다르며 일반적으로 동물의 내분비 호르몬을 가리키고 식물의 것은 식물호르몬의 일종인 옥신을 말한다 뇌하수체 전엽 ... ...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효모를 키우면 효모의 갈락토시다제는 이를 분해해 글루코스와 갈락토스를 만들고,
배지
는 푸른색으로 변한다상처나 피부를 소독하는데 쓰는 휘발성 살균제사건 현장에서 증거물을 채취해 피해자와 범인의 신원을 밝히고 사건의 단서를 찾는 임무를 맡은 수사대 미국에선 주마다 여러 CSI팀을 ... ...
미술로 풀어보는 수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피타고라스학파는 정오각형에 대각선을 그려 별 모양의 도형을 만들어서 자신들의
배지
로 사용했다. 또 육각형은 해바라기와 벌집 모양에서 눈송이에 이르기까지 자연 현상 전반에서 나타난다.김봉태가 단순한 선과 면을 이어 만든 ‘윈도우’와 송중덕이 칠교판을 응용해 만든 작품 ‘추억의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부분은 그 안쪽으로 모인 형태의 초분자가 된다.연구단은 이 초분자를 세균이 들어있는
배지
에 넣어봤다. 그 결과 세균의 세포막에 초분자의 막대 부분이 끼어들어간 것. 세포막도 막대 부분처럼 소수성의 지질성분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 이때 막대 안쪽 사슬 부분은 친수성이므로 세포 내부에 ... ...
탐사선 딥 임팩트, 혜성 향해 발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줄기의 생장점을 포함하는 경정부(莖頂部)의 배양을 경정배양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한천
배지
상에서 행한다 생물의 생장에 관여하는 호르몬 생장호르몬은 식물과 동물이 각각 다르며 일반적으로 동물의 내분비 호르몬을 가리키고 식물의 것은 식물호르몬의 일종인 옥신을 말한다 뇌하수체 전엽 ... ...
인공 생명체 창조 임박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10일자에 발표했다.연구자들은 단백질을 만드는데 필요한 리보핵산과 아미노산을 함유한
배지
에 인공 세포를 넣었다. 인공세포 안에는 포도상구균의 통로단백질 유전자가 들어있어 여기서 만들어진 통로단백질이 인공세포막에 박혀 영양분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통로역할을 했다.연구자들은 이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되었다가 이어 청자색으로 변한다 방선균목(放線菌目) 악티노미세스과(科)의 분열균
배지
(培地)에서 증식하고 굵기가 025μ 정도의 간상(桿狀)이며 비운동성이고 호기성·그람 양성이다때때로 파라핀·석탄산·크레졸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인체에 감염되면 피부진균증·복막염·수막염·폐결핵과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효모를 키우면 효모의 갈락토시다제는 이를 분해해 글루코스와 갈락토스를 만들고,
배지
는 푸른색으로 변한다상처나 피부를 소독하는데 쓰는 휘발성 살균제사건 현장에서 증거물을 채취해 피해자와 범인의 신원을 밝히고 사건의 단서를 찾는 임무를 맡은 수사대 미국에선 주마다 여러 CSI팀을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분화의 비밀열쇠를 찾고 있는 조 교수의 연구는 현재 줄기세포를 어느 정도 키운 뒤
배지
에 띄워 배양하는 배상체 단계까지 와있다. 이 단계에서 일부 세포가 인슐린을 분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그런데 다음 단계에서 이 세포가 사라져버리는 겁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생쥐의 경우와는 전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