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배양기
badge
문장
배양액
d라이브러리
"
배지
"(으)로 총 142건 검색되었습니다.
5. 공공서비스_편리하고 똑똑해진 공공 서비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u-
배지
가 있다. 치매노인, 장애인들에게 각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 개인 신상정보가 담긴
배지
를 나눠주고 이들이 길을 잃거나 위험에 빠지는 일을 멀리서도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위험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는 것이다. 사전에 저장된 신상정보에 따라 매일 같은 시간에 ... ...
대장금의 손맛 비결은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나물을 후라이팬에서 주걱으로 볶다가 양념을 넣고 금방 끝낸다. 이럴 경우 양념이
배지
않고 질기게 된다고 한다. 기름으로 볶으면 섬유소밖에 얇은 기름막이 형성돼 양념이 스며드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그래서 한 원장은 나물을 기름에 볶을 때 양념이 침투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를 ... ...
자동 주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줄기의 생장점을 포함하는 경정부(莖頂部)의 배양을 경정배양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한천
배지
상에서 행한다 생물의 생장에 관여하는 호르몬 생장호르몬은 식물과 동물이 각각 다르며 일반적으로 동물의 내분비 호르몬을 가리키고 식물의 것은 식물호르몬의 일종인 옥신을 말한다 뇌하수체 전엽 ... ...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식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험 결과 유전자가 들어간 애기장대는 중금속이 녹아있는
배지
에서도 잘 자랐다. 대조군인 일반 애기장대의 성장이 지리멸렬한 것과는 큰 차이가 난다(그림 2). 식물의 세포를 조사해본 결과 YCF1 단백질은 식물이 흡수한 중금속을 신속히 액포로 옮겨 정상적인 세포 ... ...
① 메타게놈이 가져온 DNA 연구 혁명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해안 갯벌의 미생물 분포를 연구할 때, 미생물을 인공
배지
에서 직접 분리배양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일부 미생물의 존재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있으나, 전체 미생물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이때 메타게놈 분석 방법을 이용하면 전체 미생물 종류와 이제까지 ... ...
미국의 이라크 전에 대한 각국의 지지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효모를 키우면 효모의 갈락토시다제는 이를 분해해 글루코스와 갈락토스를 만들고,
배지
는 푸른색으로 변한다상처나 피부를 소독하는데 쓰는 휘발성 살균제사건 현장에서 증거물을 채취해 피해자와 범인의 신원을 밝히고 사건의 단서를 찾는 임무를 맡은 수사대 미국에선 주마다 여러 CSI팀을 ... ...
② 복제는 불임의 유일한 대안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커진다”면서 “이는 수정란이 훨씬 건강하다는 신호로 이해하면 된다”고 설명한다.
배지
기술의 발전 덕분에 예전에는 수정란을 2-3일 키워 자궁에 넣었는데, 요즘에는 4-5일까지 늘어났다. 시기가 길어진 만큼 수정란을 더 건강하게 키워 집어넣기 때문에 당연히 성공률이 높아진다.한편 수정란을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수 있고, 이를 각각 DBD와 AD에 붙여 한번에 반응시키면 단백질의 종류에 따른 결합 여부를
배지
의 색깔변화로 파악할 수 있다. 정확성 높인 미끼 속 2개의 낚시 바늘한편 생화학적인 방법은 주로 구조를 이미 알고 있는 하나의 단백질을 고형 지지체에 붙여 여기에 결합하는 다른 단백질을 골라내는 ... ...
무선통신 서비스용 무인기 헬리오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줄기의 생장점을 포함하는 경정부(莖頂部)의 배양을 경정배양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한천
배지
상에서 행한다 생물의 생장에 관여하는 호르몬 생장호르몬은 식물과 동물이 각각 다르며 일반적으로 동물의 내분비 호르몬을 가리키고 식물의 것은 식물호르몬의 일종인 옥신을 말한다 뇌하수체 전엽 ... ...
세균이 만드는 나노 리본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설명했다. 나노 구조물의 폭은 세균이 액체
배지
위에서만 자랄 수 있으므로 홈의 두께를
배지
로 조절함으로써 바꿀 수 있다. 한편 콘도 박사는 “만약 셀룰로오스 대신 다른 물질로 길을 만들 수 있다면 상처를 치료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것”이라고 기대했다. 즉 유전자조작으로 세균이 피부를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