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원
마당
바깥마당
야드
택지
타작마당
원정
d라이브러리
"
뜰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중력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기대를 엿볼수 있는 대목이다.앞으로 ‘멀티메신저 천문학’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뜰
것이다. 중력파와 전자기파를 둘 다 이용해 관측효과를 극대화하는 걸 말한다. 초신성이나 감마선 폭발처럼 우주에 거대한 일이 벌어질 때 중력파가 나온다. 이후 수 초~수 일간 감마선과 X-선, 뉴트리노가 ... ...
9월 9일에도 슈퍼문 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보름달이 밤하늘에서 환하게 빛나는 이유는 태양 빛을 반사하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보름달이 평소보다 지구에 가깝게 다가오면 크기가 더 커 보이고 밝기도 더 환하게 보 ... 9월에
뜰
슈퍼문을 기다려 보세요! 한국천문연구원은 9월 9일에 올해의 마지막 슈퍼문이
뜰
거라고 밝혔답니다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나도 꽃을 좋아한다고~.서울 같은 대도시는 한쪽에서 비가 오고, 다른 쪽에선 해가
뜰
때가 있을 정도로 넓어. 경기도 같은 도 단위로 가면 더 넓지. 그러다 보니 같은 지역이라도 자연 현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어. 그래서 기상청에서는 지역을 시나 군 단위에서 읍이나 동 단위까지 잘게 ... ...
우주선이 뼈처럼 가벼워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배열돼 있는 세라믹 고분자 복합체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나무와 뼈는 물에
뜰
정도로 밀도가 낮고 가벼우면서도 웬만한 금속 못지않게 강도가 높다. 비결은 조직 사이사이에 비어있는 공간 덕분이다. 이를 흉내 내 ‘알루미늄 거품’처럼 금속 사이에 공기 방울을 넣는 연구도 있었지만, ... ...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굳을 때 갇혀 있던 기체는 거품 방울로 팽창하면서 함께 돌(부석)이 되어버리지요. 물에
뜰
만큼 밀도가 작답니다.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유리거품에어로젤은 모래와 유리로 만든 고체거품이에요. 빈 공간이 98%나 돼 연료나 전자를 담을 수 있지요. 두께 2.5cm인 에어로젤은 유리창 10장을 겹쳐놓은 ... ...
날아라, 신통방통 미래 비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3호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해결해야 할 숙제가 남아 있기 때문이랍니다. 몸체가 하늘에
뜰
수 있을 만큼 가벼우면서도 도로에서 다른 비행기나 자동차와 부딪혔을 때 사람이 다칠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만큼 묵직하고 단단해야 하기 때문이지요.미래 비행기, 안전하려면?지난 11월 16일, 짙은 안개 속에서 ... ...
세상에서 가장 황당한 연구, 2013 이그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0호
만들지만 곧 뭔가를 생각하게 만드는 연구거든요.실제로 개구리를 자석의 힘으로 공중에
뜰
수 있게 한 연구로 2000년에 이그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 가임 박사는 세계 최초로 그래핀을 발견한 업적으로 2010년에 최고과학상인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답니다. 이그노벨상이 만만치 않죠?올해엔 특별히 ... ...
부력으로 둥둥 물로 가는 친환경 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물체가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받는 힘을 부력이라고 하지. 열기구가 하늘에 둥실둥실
뜰
수 있는 것도 부력 덕분이란다.그런데 어떤 물체는 물에 뜨지만 물에 뜨지 않는 물체도 있잖아요.맞아~. 물에 가라앉는 물체는 부력보다 중력이 더 세기 때문이야. 부력은 물같은 유체 속에 있는 물체 부피에 ... ...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세계 최초 시험 비행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50km다.‘KUS-TR’는 활주로가 필요 없이 프로펠러를 수직으로 움직여 헬기처럼 제자리에서
뜰
수 있다. 가속 비행 때는 프로펠러가 수평 방향으로 자동 전환된다. 전시에 활주로가 파괴됐을 때도 쉽게 떠오를 수 있고, 뜬 다음에는 비행기처럼 빨리 비행할 수 있어 군용으로 적합하다. 대한항공과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뜨겁다.앤더슨 총장도 미래과학콘서트의 연사로 등장한다. 행사 및 내한 준비로 눈코
뜰
새 없이 바쁘다는 앤더슨 총장을 싱가포르에서 만났다. 그는 “노벨상 수상의 비법은 ‘탁월한 연구 성과(excellence only)’라는 정답 외에 어떠한 지름길도 없다”며 “아시아 대학 및 학자들의 연구 수준이 많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