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원
마당
바깥마당
야드
택지
타작마당
원정
d라이브러리
"
뜰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빛을 조절한다! 편광 선글라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남자로 변신하려 하는데…. 으악~! 너무 눈부셔~! 강렬한 가을 햇빛 때문에 눈을 제대로
뜰
수가 없어. 흠…, 좋아! 이번 실험은 편광 선글라스 만들기로 결정했어!교과서 내용 다시 보기빛 차단하는 선글라스의 비밀강렬한 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선글라스가 만들어졌어. 선글라스는 ... ...
생체모방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다리 끝에는 물과 친하지 않은 소수성 물질이 발라져 있어 진짜 소금쟁이처럼 물 위에
뜰
수 있답니다.이 로봇이 주목받은 더 큰 이유는 물 위를 폴짝폴짝 뛰는 소금쟁이의 행동까지도 그대로 따라했기 때문이에요. 연구팀은 1초에 500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로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채집할 수 있지요. *CTD라는 심해 조사 장비를 이용하면 2000m 깊이에 있는 물을 직접
뜰
수도 있고, 필터를 이용해 플랑크톤만 남도록 거를 수도 있지요. 과학자들은 이렇게 모은 플랑크톤의 종류를 분류하고, 또 몇 마리씩 있는지 수도 센답니다.✽CTD : 길쭉한 탱크를 여러 개 연결해 깊은 바다까지 ... ...
드론 미래를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사람들이 직접 하기 힘든 일들이야. 그런데 요즘엔 우리를 찾는 곳이 점점 많아져서 눈코
뜰
새 없이 바빠졌지 뭐야. 어? 저기서 또 누가 날 찾네! 드론 전쟁에서 태어나다우리는 하늘을 날 때 ‘윙윙~’ 소리를 낸다고 해서 영어로 수벌을 뜻하는 드론(Drone)이라고 이름 지어졌어. 요즘엔 아주 다양한 ... ...
백투더퓨처 2015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공개했다. 차 꽁무니에 추력을 내는 대형 팬, 양날개 끝에 틸트로터를 달아 제자리에서도
뜰
수 있다. 아직 개발 단계지만 최고 시속 약 320km으로 최대 805km 정도까지 비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의 집 앞에서 제주도 주상절리 앞까지 약 1시간 반 만에 갈 수 있는 셈이다. 테라퓨지아 연구팀은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물에서 움직이는 것보다 기름 속에서 움직이는 것이 어렵고, 엿이나 꿀을 숟가락으로
뜰
때 길게 줄이 생기게 된다. 반대로 점도가 낮을수록 용액이 흐르는 속도는 빨라진다.密 度밀 도(빽빽할 밀, 정도 도)‘빽빽할 밀(密)’을 사용하는 밀도는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나 분자가 촘촘하고 빽빽하게 ... ...
도요새는 왜 봄에 우리나라로 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이때 몸 위로 올라간 공기는 상승기류가 되어, 뒤따라오는 새가 적은 힘으로도 위로
뜰
수 있도록 해 준다. 실제로 앞에서 두 번째 비행하는 새는 맨 앞에서 비행하는 새보다 33%만큼 에너지가 적게 든다.이렇게 편대비행을 하면 맨 앞에 있는 새의 체력소모가 가장 심하다. 그러므로 편대비행을 하는 ... ...
[Hot Issue] 류현진, 네 탓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대부분의 야구팬이 투수를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평균자책점이다. 그런데 여기에는 하나의 맹점이 있다. 내가 응원하는 팀이 점수를 주는 상황을 한번 떠올려보자 ... 좋은 이적생들이 차지했기 때문이다. 수비에 고통받던 류현진에게 올해는 쨍하고 해
뜰
날이 찾아올까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간단했다. ‘플라스틱 병은 물에 뜬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서. 플라스틱은 물에
뜰
뿐만 아니라 강을 건너고 바다도 건널 수 있다. 세계적으로 매년 2억8000만t의 플라스틱이 생산된다. 이중 1억t은 비닐봉지나 플라스틱 병처럼 ‘아주 잠시’ 쓰이고 버려진다. 바다로 흘러들어온 플라스틱은 긴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것이다. 곽 교수는 그 시기에 좌절하지 않고 꾸준히 해야 큰 산을 넘고 수학에 눈을
뜰
수 있다고 독자 기자를 격려했다.하고 싶은 일이라면 주저하지 마세요!강연이 끝난 뒤, 독자 기자는 카이스트 수학문제연구회 학생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수학문제연구회는 수학을 좋아하는 카이스트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