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달
음지
음영
그림자
섀
솔개그늘
솔개
d라이브러리
"
그늘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모습까지 따라하며 설명했더니 땀이 나네.히힛, 그럼 제 마술우산
그늘
로 들어오세요.
그늘
이 다 똑같…, 아니, 우산 안에서 바람이 불고 있잖아?흰개미 집을 흉내 내 만든 우산이에요. 이렇게 천장을 열면 뜨거운 바람이 위로 나가고 아래로 찬바람이 들어온답니다.동물의 작품에서 아이디어를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충분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울창한 숲에서 자라는 키가 작은 나무는 큰 나무의
그늘
에 가려 손해를 보게 된다. 일본의 수학자 이와사 요 박사(일본 규슈대 이학부 교수)는 나무들이 주변 환경에 따라 수관의 높이를 결정하는 이 현상을 가리켜 ‘나무 높이 게임’이라고 부르고 연구를 ... ...
저는 로봇 입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말해보라, 로봇. 네가 말한 로봇 중심 사회는 어떤 세상인가. 디스토피아라는
그늘
을 감춘 또 하나의 유토피아 기획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로봇이 답했습니다 :제가 말한 세상은 이미 와 있습니다_ 그것은 당신들의 예전 세상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_판관이 빠르게 물었습니다.“그럼 로봇이 ... ...
PART 1. 잘 때 입술이 마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심는 게 중요하다. 잔디는 보기에는 좋지만 대기 순환에 전혀 효과가 없다. 나무는 작은
그늘
만으로도 기온을 떨어뜨려 바람을 만들 수 있다.도시 사막화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변화가 서울 기후를 이미 지배했다. 피부가 건조해지고 입술이 바짝바짝 타는 서울, 10년 후에는 어떤 모습일까. ...
숫사자는 장식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사자는 낮에는 바위
그늘
이나 풀숲에 몸을 숨긴 채로 휴식을 취한다. 햇볕을 피해
그늘
에 자리잡고 있는 만큼 시야가 좁아 사냥을 하는 경우는 드물다. 반면 밤이 되면 암사자는 시야가 좁은 지역에서 벗어나 사냥을 시작한다. 숫사자는 여전히 낮에 머물렀던 자리에 남아 있는다. 하지만 단지 쉬기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2° 정도만 기울어져 있다. 그래서 극지에는 영구적으로 태양빛을 받지 않는
그늘
이 생길 수 있다. 수성에는 대기가 거의 없어 직사광선을 받지 않는 지역의 온도는 영하 100℃ 이하로 내려간다.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수성의 충돌구 깊숙한 응달이나 극지에 얼음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해왔다. 더욱이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뿐 아니라 스마트폰 어플로 경고를 받을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어요.터널 입구나 산
그늘
에 가린 곳은 겨울에 눈이 잘 녹지 않는다. 또 경사가 급하거나 꼬불꼬불한 도로, 다리는 눈이 내릴 때 빙판이 생겨서 가장 사고가 나기 쉬운 곳이다. 이런 장소에 자동 제설시스템을 갖추면 사고를 막을 수 있다 ... ...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이끼를!정광산에는 반딧불이와 더불어 환경오염 정도를 알려 주는 이끼가 살기 적합한
그늘
지고 습기 찬 곳이 많아요. 이끼는 반딧불이와 다르게 공기가 얼마나 오염됐는지를 알려 주는데, 공기 오염이 심하면 잘 자라지 못하고 말라 죽어요. 이끼 중에는 산성비가 내리면 색이 변하는 리트머스 ... ...
Part 3. 태양의 눈부신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천체의 중력이 평형을 이뤄 관측선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곳이다. 지구나 달의
그늘
에 가리지 않아 태양을 관측하기에 이상적이다. 하지만 이곳에 있는 관측선 하나로는 2차원 영상밖에 찍을 수 없어 높이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스테레오A와 스테레오B는 서로 다른 지점에서 관측해 ... ...
Part 1. 응답하라 백두여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아마 날 주로 보는 시간이 밤이기 때문일 거예요. 낮에는 인간 눈에 안 띄는 굴이나 나무
그늘
에서 쉬고 밤에 쥐 사냥을 다니거든요. 사냥을 다닐 때 내가 얼마나 날래게 움직였으면 ‘홀린다’고 표현하겠어요? 마음만 먹으면 3m 정도 되는 울타리도 거뜬히 뛰어 넘는다고요. 먹고 살기 위해서라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