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달
음지
음영
그림자
섀
솔개그늘
솔개
d라이브러리
"
그늘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응답하라 백두여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아마 날 주로 보는 시간이 밤이기 때문일 거예요. 낮에는 인간 눈에 안 띄는 굴이나 나무
그늘
에서 쉬고 밤에 쥐 사냥을 다니거든요. 사냥을 다닐 때 내가 얼마나 날래게 움직였으면 ‘홀린다’고 표현하겠어요? 마음만 먹으면 3m 정도 되는 울타리도 거뜬히 뛰어 넘는다고요. 먹고 살기 위해서라면 ... ...
[knowledge]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만약 인간마저 온몸이 털로 덮여 있다면 어떨까요. 사자와 똑같이 대낮에는 맥도 못추고
그늘
부터 찾아 쉬어야 했을 것입니다.맨몸 인류와 검은 피부의 탄생이런 상황에서 털이 없는 맨몸이 처음 나타난 것은 아마 우연한 돌연변이 때문일 겁니다. 이 돌연변이를 지닌 인간은 맨몸에 난 땀을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수분을 엄청나게 빨아들여서 다른 식물이 자라지 못하게 한다. 덩치는 크지만 만드는
그늘
은 보잘 것이 없다. 게다가 죽으면 수분이 빠져나간 나무줄기는 물을 흠뻑 머금었다가 말라버린 종잇조각처럼 되기 때문에 목재로도 사용할 수 없다. 마다가스카르 사람들이 바오밥 나무를 좋아할 이유가 ... ...
태양, 세렝게티의 사자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이 말은 일반적으로 사실이다. 그런데 가이드가 눈치 채지 못한 것이 있다. 어제에 비해
그늘
에서 ‘놀고 있는’ 수컷의 숫자가 둘이 빈다. 왜 일까?수컷은 어디로 갔을까사자와 같이 영역에 민감한 짐승이 하이에나다. 과거엔 하이에나가 썩은 고기나 먹는 지저분한 짐승으로 알려졌다. 사실은 ... ...
가로수 오디션의 주인공, TOP10을 공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플라타너스’로 더 유명하지요.가지가 넓게 퍼지고 잎이 손바닥보다 커 풍성한
그늘
을 만들어요.여러분에게 소중한 추억도 만들어 드리지요. ‘입하’ 무렵에 꽃이 핀다고 제 이름은 이팝나무가 됐습니다. 벚나무처럼 하얀 꽃을 내지만 꽃이 얇고 긴 모양이고 취산꽃차례*로 다닥다닥 붙어 새로 ... ...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방망이처럼 길쭉하게 생긴 ‘맹그로브’다. 맹그로브가 물속에서 숲을 이루면 바다 속에
그늘
이 생겨 어패류의 휴식처가 생긴다. 알을 낳을 수 있는 산란지로 사용되기도 한다. 나무에서 떨어진 잎이 썩으면 영양물질이 풍부해져 플랑크톤과 새우 등 어패류의 먹이가 되는 작은 생물도 풍성해진다. ... ...
버릴 게 하나 없는 음식 찌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살짝 끓여. 이때 소금과 식초는 옷에 물이 잘 들도록 하는 도우미 역할을 해. 물든 옷을
그늘
에 말리면 은은하게 물든 걸 볼 수 있을 거야.비법 3 설거지엔 쌀뜨물과 차 찌꺼기친구들은 엄마를 도와 가끔씩 설거지를 하지? 그때 기름기가 묻은 그릇을 씻을 때 주방세제를 사용할 거야. 그런데 ... ...
도시는 초록빛 꿈을 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고 쉴 수 있는 다양한 시설들이 있다. 걷고 싶은 충동을 갖게 하는
그늘
과 꽃이 핀 덩굴식물(부겐베리아)이 매력을 더해준다.▲빌딩 벽면의 녹색지대 | 미국 뉴욕뉴욕 맨해튼에 있는 현대식 빌딩이다. 유리로 된 외벽 중간에 숲을 조성해 놓았다. 주변이 온통 초고층 빌딩인데 ... ...
한국적 캐릭터로 세계의 신화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스마트폰 웹브라우저의 느린 인터넷 속도와 굼뜬 반응은 갓워즈의 성공에 부정적인
그늘
을 드리웠다. 게임의 성공은 ‘타이밍’에 달려 있다다행히도 이 시기에 네이버에서 새로운 소셜 앱스토어로 게임 플랫폼을 준비 중이었다. 그래서 우리는 갓워즈를 처음 설계했던 스마트폰용 게임이 아닌 PC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정확히 직각으로 배치됐다. 그림자를 최대한 길게 하기 위해서다. 그림자는 도심에
그늘
을 만들어 온도를 낮춰 준다.건물 지붕마다 설치된 태양광 발전판은 지붕을 시원하게 유지하면서 에너지도 생산한다. 태양광 패널이 만드는 전력만으로 소비전력의 130%를 생산해 남는 전기를 팔고 있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