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내
실개천
강
개골창
도랑
개수
물도랑
d라이브러리
"
개울
"(으)로 총 88건 검색되었습니다.
번개와 생명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있는 질산염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질산염은 용해성이 있으므로 비가 그들을
개울
로, 강으로 그리고 마침내 바다로, 씻겨 내리곤 한다. 머지않아 모든 질산염이 사라질지도 모르며 생명은 질산염이 모이는 해양에서 지속되는 반면, 육지는 완전한 사막이 되어 버릴 지도 모른다. 만약 ... ...
잘못 알려진것이 너무많은 곰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동물이다. 하지만 주로 과일류와 나뭇잎의 새 싹을 즐겨 먹는 채식주의자이다. 산속
개울
에서 가재나 작은 물고기를 잡아 먹기도 하며 새들의 알 또는 어린 새끼 동물들을 잡아 먹는다.이때는 예민하게 발달된 후각으로 탐색을 한다. 곰은 원래 식탐이 많아 음식을 먹을때마다 제몫을 놓아두고도 ... ...
컴퓨터와 인간두뇌 뉴런컴퓨터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뛰어난 감각 및 지각능력에 대하여 논의해 보기로 하자. 숲속에서 햇살에 반짝이는
개울
물에 발을 담그고 짙은 녹음 속에서 청초한 풀꽃 내음을 맡으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도, 신호등 차선 횡단보도의 행인들을 끊임없이 살피며 자동차의 운전에 안전을 꾀할 수 있는 것도 사실은 모두 인간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자갈밭이며 돌사이로 눈녹은 물이 소리 내어 흐른다. 한국기지 건설단들도 이 눈녹은
개울
물을 정화,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눈이 녹는 곳은 킹조지섬 일대이기 때문에 이곳에 많은 기지들이 모여 있다. 우리나라가 거의 마지막으로 이곳에서 여름철에 눈녹는 땅을 차지함으로써 앞으로 ... ...
30여년만의 본격조사 휴전선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담수어-농약피해 없어 대량으로 번식 휴전선 부근 강과
개울
늪에서 발견된 어류는 71종. 농약사용이 거의 없어 어딜 가나 피라미 갈겨니 돌고기 모래무지 새미 붕어 배가사리 참종개 새코미끄리 퉁가리 메기 등이 떼지어 살고 있었다. 그러나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해서 ... ...
국토개발과 자연보존이 조화이루어야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잠자리의 분포북한계임을 확인한 것입니다. 이같은 사실을 알고는 다시 잠자리를 잡았던
개울
가로 가 한참을 찾았지만 더 이상 잡지를 못했을 뿐 아니라 그 후 지금까지도 잡지를 못하고 있읍니다. 아마도 우리나라에서는 멸종된 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40여년간 채집작업을 해오시면서 ... ...
민물고기, 디스토마와 중금속 오염 경계하자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우리나라도 최근에 와서야 공장 폐수의 단속이 엄격해지고 있지만 공단가까이에 있는
개울
은 여전히 먹물같은 물이 흐르고 있고 지방 중소 도시의 하수는 그대로 방치되어 강으로 들어 가고 있다. 논 밭에 뿌리는 농약이 과거에는 유기수은으로 만든것이었으나 지금은 사용 금지가 되었지만 그 대신 ... ...
조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교대로 날아오르는 모습은 천하의 명무(名舞). 이들은 둥우리를 주로 넓은 초원의
개울
가 같은 갈대가 많은 땅바닥위에 평평한 큰 접시 모양이나 가운데가 약간 오목하게 들어간 주발모양으로 만든다. 알은 하나만 낳는데 세계적으로 두루미의 수가 적은 것은 번식력이 약한 것도 큰 원인의 하나가 ... ...
이전
5
6
7
8
9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