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내
실개천
강
개골창
도랑
개수
물도랑
d라이브러리
"
개울
"(으)로 총 88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활동준비를 서두르기 시작한다. 끝까지 버티고 있던 산골짜기의 눈들도 녹기 시작하여
개울
이 부푼 느낌을 받게 한다. 밤하늘에서도 변화가 일기 시작하여 1등성들로 수 놓아진 화려한 겨울철의 별자리들이 동쪽 하늘을 맹수의 왕, 사자에게 양보하고 서쪽하늘로 물러나기 시작한다. 또 이 달의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수 없으며 표본을 만들어 놓음으로써 결과가 반영구적이지요, 또한 희귀한 나비는 숲과
개울
이 있는 곳에 많아 경치 좋은 곳에서 나비를 쫓다보면 운동과 스트레스 해소는 저절로 됩니다. 특히 나비는 오후 4시면 자취를 감춰 일찍 귀가할 수 있으니 몸에 무리가 따르지 않는 것도 장점이지요."그는 ... ...
α(알파)파와 θ(세타)파를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두뇌능력이다. 우리는 스스로 알게 모르게 자신의 초능력을 사용할 때가 종종 있다. 마치
개울
물 모래속에서 사금가루나 작은 금덩이를 주워서 기뻐하지만 그 주변 땅속에 굉장한 금광이 있음을 모르듯, 때때로 다급할 때 높은 담장을 뛰어 넘었다든지 병원에서 "불이야 !"하는 고함소리에 평소 걷지 ... ...
실개천이「끙끙끙」흐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근본적으로 인체나 환경에 무해하도록 개량된 것은 아니다.전국 방방곡곡 어디를 가나
개울
물에서는 거품이 피어 오르고 있다. 특히 마을에서 나오는 실개천의 경우는 더욱 심하다. 그것이 모두 합성세제에서 나오는 거품이다. 이렇게 거품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물속의 여러가지 생물은 숨이 막혀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뜻한다. 물쑥과 제비쑥의 어린 잎은 먹지만 오래된 잎은 먹지 못한다. 참쑥은 양지쪽
개울
가나 논밭둑에서 발견되는데 일은 봄부터 새싹이 돋는다. 이 쑥은 그 자체로 약용도 되고 식용도 된다. 쑥떡은 과거에 아주 고급음식에 속했고 쑥범벅 쑥국 쑥죽 등 이용범위가 매우 넓었다. 특히 삼월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해를 높이고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일궈내는 생태사진가들의 세계를 찾아가 보자.
개울
가와 저수지 주변에 서식하는 물총새는 물가 흙벼랑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알을 낳고 새끼를 기른다. 어미새가 물어다 준 민물고기를 맛있게 발라 먹고 토해낸 민물고기뼈를 바닥에 깔아 밑에서 올라오는 ... ...
오스트레일리아 특별동물구(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특정한 만에 모여들도록 이끌어 준다. 그 냄새가 차차 강해짐에 따라 어느 특정한 강이나
개울
로 이끌리는 것이다. 콧구멍을 막아놓은 연어가 방향을 잃는 것으로 보아 냄새가 그들을 인도하는 길잡이인 것을 알 수 있다. 어떤 장애를 받지 않는 한, 그들은 놀라운 기억력과 항해의 정확성을 무기로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공급되고 그로 인해 유익한 세균이 번식되기도 한다.지렁이가 사라졌다. 시골의 마을안
개울
이 시멘트관으로 복개되고 그 밖의 습지는 가정하수, 특히 합성세제가 침투함에 따라 지렁이가 거의 자취를 감추고 만 것이다. 동시에 두더지도 멸종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두더지는 땅속의 지렁이나 ... ...
동화 속의 투시경을 찾아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일인 만큼 남모르는 즐거움들도 있다. 아침에 식당에서 싸 간 맛없는 도시락을 산비탈
개울
가에서 먹는 약간의 처참한 즐거움, 교수님 몰래 일찍 숙소로 돌아와 어떻게 변명할까 고심했던 순간들, 보고 오지도 않은 노두를 어떻다고 말씀드려야 할까 고민했던 기억들이 정겹다.또 어쩌다 화석이 많이 ... ...
식물들의 겨울지내기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있는 현상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른 봄에 산에 가서 달콤한 송피(松皮)를 벗겨 먹었으며,
개울
가에서 반디나물의 달콤한 뿌리를 캐먹은 기억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겨울철에 풀이 시드는 사연산과 들의 풀들은 겨울이 되면 누르스름하게 색깔이 변하고 시들어서 마치 잠자는 것처럼 보인다. 여름에 ... ...
이전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