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형"(으)로 총 9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과학동아 l201508
- “사이드 스캔 소너(측면주사음파탐지기)나 다중빔음향측심기와 같이 음파를 이용해 지형을 그리는 탐사 기법도 있어요. 하지만 선박은 단 몇 cm의 오차만 나도 배의 모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사람이 측정하는 게 가장 정확하죠.” 홍광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수중발굴과 팀장이 ...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과학동아 l201508
- “명왕성 표면에는 가장 멀리 떨어진 두 지점의 거리가 약 1600km인 거대한 ‘하트’ 지형이 있다”고 소개했다(밝게 빛나는 부분). 확대된 부분은 명왕성 적도 부근의 상세 사진이다. 얼음으로 뒤덮인 표면 위에 만들어진 지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높이 3500m의 산이 솟아 있다.➋ 명왕성과 ...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07
- 정확히 알아야 한다. 해양과학기술원은 작년 12월부터 3개월간 세월호 침몰지역에서 해저지형과 유속을 면밀히 조사했다. 현장조사를 총괄한 이용국 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연구센터장은 “세월호가 해저에서 바닷물의 흐름을 방해해 수심 20~40m 사이에서는 유속을 예측하기가 어려웠다”면서도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07
- 과학작가 김지현 과학동아 별학교장과 김병수 박사가 사진과 글을 보내왔다. 서호주의 지형과 하늘을 2회에 걸쳐 시리즈로 소개한다.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 태초의 모습은 수십억 년 동안 이어진 침식과 판의 운동에 의해 지표면에서 사라졌다. 하지만 몇 군데는 아직 그 때의 모습을 간직하고 ... ...
- 도심형 싱크홀, 인공위성으로 잡는다과학동아 l201506
- 있다는 데 착안했다. 김 교수는 “위성의 공간 해상도가 수 cm 정도로 높아져 복잡한 도심 지형도 관측할 수 있다”며 “아리랑 5호의 데이터가 3년 정도 쌓이면 싱크홀 예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506
- 원자가 다른 원자와 결합하면 원자핵과 전자, 전자와 전자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 계단의 지형이 바뀐다. 계단끼리 서로 밀고 당겨서 계단의 높이가 변한다. 그 결과 기존 계단 주위에 여러 계단이 촘촘히 모여 마치 계단이 아닌 연속적인 내리막처럼 보이는 구간이 생긴다. 이 부분을 에너지 밴드라고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06
- 고친다. 만약 더 이상 버틸 수 없을 때는 뒷걸음질 쳐서 중심을 잡는다.하나의 해저 지형이 그려질 때마다 연구원들은 정용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수중발굴과 학예연구사와 논의를 거듭했다. 전봉환 실장은 "수중문화재 발굴을 오래 하신 분은 초음파 영상만으로 어떤 물체인지 단번에 안다"며 ...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과학동아 l201506
-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트인 장소일 것. 둘째, 절벽 끝이나 작은 언덕, 산꼭대기 등 지형적으로 두드러져 정찰이 편리할 것. 셋째, 물과 음식을 얻을 수 있는 호수와 강이 있을 것 등이다.바이오필리아바이오필리아는 직역하면 '생명애'이지만, 정신분석가 에리히 프롬이 이미 생산적, 창조적 삶을 ... ...
- [참여] 튼튼한 공간 설계하기! 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수학동아 l201504
- 다 만들 수 있으면 좋겠지만 실제 건축이 그렇진 않습니다.”건축에서는 돈과 시간, 지형과 주변 환경, 법규 등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다. 제한된 조건 안에서 원하는 목적을 이뤄내는 게 건축 설계라는 걸 배우는 것이다.“자유롭게 만들 때보다 제한된 조건 안에서 만들 때 더 많이 고민하게 되죠. ... ...
- 동네 서점을 거니는 느낌으로과학동아 l201504
- 내용은 알기 어렵다. 그러나 거대한 지식의 섬의 중심에 접근하려면, 겉에 보이는 숲의 지형을 가늠하는 게 먼저다. 미처 알지 못했던, 물리학의 새로운 면모를 우연히 발견하는 기쁨도 누릴 수 있다. 그냥 한번 들춰보자. 동네 서점을 거니는 느낌으로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