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형"(으)로 총 9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지구를 향한 발칙한 상상, 지구가 둥글지 않다면?수학동아 l201607
- 때(도넛 지구)와 훌라후프처럼 구멍이 클 때(훌라후프 지구)로 나누어 중력이나 계절, 지형 등을 추측해봤다.샌드버그 교수가 상상한 것과 달리 도넛처럼 생긴 천체는 실제로 있을 가능성이 매우 낮다. 하지만 혹시라도 존재한다면 실제 지구와는 전혀 다를 것이다. 만약 지구가 구나 도넛이 아닌 또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07
- 만들 계획이다. 채 센터장은 “우선 강우량으로 광역 경보 또는 주의보를 발령한 뒤, 지형과 지질 특성을 고려해서 세부 지역에 대한 2차 경보와 주의보를 내는 방식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대전 지질연 상황실에서 만난 최정해 지질환경융합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1시간 전에 예보하는 이유는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05
- 수 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미국 뉴저지 주 해안가에서 파도 소리를 관측해 해저 지형을 유추한 연구 결과를 2008년 발표했다(doi:10.1121/1.2963048). 수심 별로 여러 개의 수중음향센서를 설치하면 파도 소리가 시간차를 두고 녹음된다. 해수면에서 바로 전파된 음도 있지만, 해저면을 맞고 돌아온 ... ...
- [수학뉴스] 해저 지도를 만드는 드론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605
- 작업을 수중에서 한 것과 마찬가지”라며, “3차원 프린터로 찍어낸 사실적인 실사 지형도로 정확한 수중 환경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 ...
- [쇼킹사이언스] 동글동글, 요정의 원어린이과학동아 l201605
- 00mm 정도인 지역에서만 물 저장고인 요정의 원이 필요하고, 그것보다 많거나 적으면 이런 지형이 필요 없어진다는 거죠.결국 식물들이 경쟁을 하며 살아가는 과정에서 특이한 요정의 원이 생겨난단 거예요.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크레이머 교수는 요정의 원이 있는 지역을 95% 정확하게 ... ...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수학동아 l201605
- 같은 도구를 사용했다는 증거다. 바빌로니아인은 컴퍼스로 원을 그리며 척도를 계산해 지형의 위치를 파악했다.미지의 세계를 표현한 삼각형도 그냥 새겨 넣은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가운데 원을 중심으로 뾰족뾰족하게 뻗어 있는 7개의 삼각형은 모두 이등변삼각형이다. 원을 정확히 그리고 ... ...
- [Tech & Fun] 화성 기지 짓는 첨단 기술과학동아 l201604
- ‘화성 정찰궤도선회탐사선(MRO)’, ‘메이븐(MAVEN)’ 등 궤도선을 통해 화성 상공에서 지형과 토양의 구성 원소를 조사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많은 탐사가 이뤄졌음에도 정확한 성분이나 분포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다. 화성에서 직접 탐사가 이뤄진다면 정밀도 높은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04
- 65마리의 노린재목 곤충을 채집했다. 그리곤 돌연변이가 발견되는 비율과 발견된 곳의 지형, 바람의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어떤 지점에서 돌연변이가 출현할 비율은 그곳이 바람에 노출된 정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즉, 핵폐기물 소각장에서 날아온 바람을 직접적으로 받는 곳에서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02
- 화산활동 가능성을 진단하는 것이다. 금성에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지형이 1000곳이 넘게 있다. 비너스익스프레스는 금성에서 지표의 연령이 최소 250만 년 이하인 ‘젊은’ 지역과, 화산활동으로 추정되는 고열점(hot spot)을 발견했다. 학계에서는 금성의 두꺼운 황산 구름이 이런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02
- 관측소도 60개가 활동 중이다. 지하에서 핵실험이 일어나면 지상의 산과 같은 거대한 지형이 크게 흔들리면서 공기 중에 초저주파를 발생시키는데 이를 관측해 핵실험의 흔적을 찾는 것이다. 관측소들은 주변 10km2이내의 0.02~4Hz 사이의 초저주파 데이터를 수집한다. 주변 소음을 최대한 차단하기 위해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