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체"(으)로 총 1,33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2016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1611
- 해마다 가을이면 과학계를 금빛으로 물들이는 노벨상이 찾아온다. 올해도 역시 발표에 앞서 캐나다 미디어 그룹 톰슨 로이터가 수상이 유력한 ...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11
- [왼쪽부터 베르나르트 페링하 교수, 프레이저 스토더트 교수, 장피에르 소바주 교수다. 노벨상의 상금 800만 크로나(약 10억 4000만 원)는 세 명이 ...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 ...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11
- 무인자동차가 만나 물류배송 비즈니스에 혁신을 이뤄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가령 정체가 심한 도심에서 무인자동차로 물건을 배송할 때 드론을 띄워 교통 혼잡도를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또 무인자동차가 교외의 물류창고에서 도심에 있는 임시 보관창고까지 물건을 운반하면, 소형 드론이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11
- 듀크대에서 초심리학을 연구했던 조세프 라인 교수 역시 투시력과 텔레파시, 염력의 정체를 과학적으로 밝히려고 애썼다. 그는 시각이나 청각, 촉각정보 외에 또 다른 자극이 뇌로 전해질 거라고 가정했다. 하지만 초능력이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에게 ‘카드 맞히기’ 실험을 한 결과, 카드를 ... ...
- [Tech & Fun] 스티븐 킹의 역작 ‘살렘스 롯’과학동아 l201611
- 위치한 미스터리한 마을, 살렘스 롯. 평범한 마을이었던 살렘스 롯에 커트 발러라는 정체 모를 사람이 오면서 이상한 일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마을 사람들이 하나 둘 사라지기 시작한 것. 정말 미스터리한 일은 죽은 이들이 밤마다 커다란 송곳니를 세우고 살아있는 사람을 찾아온다는 것이다.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11
-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라면 동물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종종 궁금할 때가 있다. 이런 호기심은 만국 공통의 것일까. 올해 이그노벨상 수상 ...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 ... ...
- [Knowledge] 서열 사라진 사회에서 태어난 지상 낙원과학동아 l201611
- 우리 인간의 관점이다. 요즘 필자의 눈에는 테스토스테론에까지 의존해 자신의 정체성을지키기 위해 싸우는 수컷 침팬지의 치열한 삶이 오히려 애처로워 보인다.인간 중심적인 시선을 거두면, 침팬지와 보노보의 사회는 다른 듯 같다. 보노보 암컷들은 다른 암컷과의 성적 행동을 포함해 관계를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11
- 이상화의 고택 등 들러보고 싶은 곳으로 가득합니다.허름하고 너저분한 골목길은 대구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기반이었습니다. 이곳에서도 수학을 즐길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유익하고 즐거운 여행이 되겠지요? 이번 매스 투어는 대구 골목길 두 번째 코스, 근대문화골목에서 시작합니다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11
- 왼쪽부터 덩컨 홀데인, 마이클 코스털리츠, 데이비드 사울레스 교수.작년 노벨상 발표를 앞둔 10월 초, 필자는 페이스북에 이런 글을 올렸다. “ ...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11
- 성장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못 만들게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마이크로RNA(miRNA)의 정체가 세상에 드러난 순간이다.그로부터 5년 뒤, 카네기연구소의 앤드루 파이어 박사(현재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와 매사추세츠대 의대 크레이그 멜로 교수팀은 예쁜꼬마선충에 인위적으로 작은 RNA 조각을 주입해서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