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체"(으)로 총 1,33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07
- 표현입니다.더구나 갈색 오물에 의해 감염이 됐다는 줄리의 기록을 보면 포에베 버그의 정체가 세균일 가능성은 더 높아집니다. 계속 언급했듯이 바이러스는 숙주인 사람이 죽고 나면 더 이상 물질대사를 할 수 없습니다. 비교적 안정적인 바이러스는 생명체로서의 활동을 멈추고 존재하기도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07
- 가정해도, 이렇게 좁은 공간에 밀집시키면 결국 블랙홀이 될 수밖에 없었다.AGN의 정체는 알게 됐지만, 더 큰 수수께끼가 줄줄이 제기됐다. 대표적인 문제가 거대질량 블랙홀의기원이다. 빛은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우주에서 먼 거리 너머를 보는 건 과거를 보는 것과 같다. 지금까지발견된 가장 먼 ...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수학동아 l201606
- 플래닛 나인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맨눈으로는 절대 볼 수 없다. 아직까지 망원경으로도 관측하지 못했다. 그 대신 해왕성을 찾아냈을 때와 비슷한 과정으로 찾아냈다. 수학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 ...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수학동아 l201606
- 2006년 8월, 이전까지 행성으로 인정됐던 명왕성이 지위를 박탈당했다.국제천문연맹(IAU)은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분류하며, 나머지 여덟 개만 태양계의 행성으로 인정했다. 그로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06
- 이전에도 아홉 번째 혹은 열 번째 행성 후보였던 천체가 여럿 있었다. 하지만 명왕성을 비롯해 수많은 천체가 결국 행성이 아닌, 왜행성★으로 분류됐다. 일부 천 ... 계속 보시려면?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운석신고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6
- 감정 받고 싶은 돌을 가져왔답니다. 과연 이 돌은 운석이 맞을까요?운석일까 아닐까? 정체를 밝혀라!먼저 표면이 검게 그을린 듯한 윤관우 기자가 가져온 돌을 분석해 보기로 했어요. 길에서 주운 돌이라고 해요.운석에는 원래 검게 그을린 ‘용융각’이 있어요. 운석은 보통 초속 20㎞의 빠른 속도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6
- 있어도 된다는 걸 증명해 보던가!”비주얼 과학 개념 이해하기용해와 용액하얀 덩어리의 정체는 바로 소금이었어요. 소금을 물에 넣으면 어떻게 될까요?소금 덩어리를 물에 넣으면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지며 물에 골고루 섞여요. 소금이 물에 녹는 것처럼 어떤 물질이 다른 물질에 녹아 골고루 섞이는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06
- 누가, 어떤 상황에서 간질이냐에 따라 웃음이 날지 화가 날지 다릅니다. 도대체 간지럼의 정체는 뭘까요.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딸이 아침부터 심통이 났습니다. 어린이날 아침에 눈을 뜨니 비가 주룩주룩 내리고 있었거든요. 엄마, 아빠와 동물원에 가자고 했던 약속은 산산이 깨졌습니다. 아침도 ... ...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과학동아 l201606
- 기업의 기술력을 드러내야 합니다.”현재 그는 철강을 생산하는 국내 중견 회사의 기업 정체성을 새롭게 디자인하고 있다. 작게는 명함부터 크게는 기업의 선전 구호와 현장 매뉴얼,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손보는 작업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임직원의 기업에 대한 소속감을 높이고 그 결과 ... ...
- [지식] 인터뷰_최수영 교수수학동아 l201605
- 요즘 크게 발전하고 있는 것 같아요. 1960년대에 수학과 물리가 급격하게 발전했다가 정체기를 겪고 있었는데, 요즘 다시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는 시기라는 느낌이 듭니다. 학자로서 많이 자극을 받고 있죠.교수님이 연구하고 있는 ‘원환체 위상수학’은 어떤 분야인지 알고 싶어요.대칭성이 있는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