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생각"(으)로 총 3,8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10
- “어떻게 하면 수학을 더 잘할 수 있을까요?”권순식 KAIST 교수의 고민 중 하나다. 수학과 교수님도 우리랑 같은 고민을 한다는 사실이 재밌다.겸손한 성격으로 인터뷰 내내 본인을 낮췄지만, 권 교수는 대한수학회에서 업적이 뛰어난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상인 ‘상산 젊은 수학자상’을 받은 유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10
- 가족의 시신을 법의인류학센터에 기증한 뒤에도 많은 유가족이 법의인류학센터를 찾는다. 사랑했던 사람이 어떻게 지내는지 눈으로 직접 보기 위해서다. 유가족 앞에서 뼈가 든 박스를 열 때마다 필자는 매번 긴장한다. 간혹 뼈를 보고 정신을 잃거나 감정이 격해지는 유가족이 있기 때문이다. 하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10
- 지난 8월 24일, 한 유명 커뮤니티에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이 충전 중에 폭발했다는 글이 올라왔다. 그로부터 6일 뒤 두 번째, 세 번째 폭발 사고가 이어졌고, 현재(9월 21일 기준)까지 국내외 서비스 센터에 접수된 사고만 100건이 넘는다. 이전에도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의 배터리 발화 문제는 있었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10
- 적대감이 가득한 초록빛 눈동자. 1985년 ‘내셔널 지오그래픽’ 표지에 실린 아프가니스탄 난민촌 소녀는 전쟁의 참상을 전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로부터 16년 뒤, 미국에서 그녀의 생사를 확인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다. 이름도 나이도 모르는 상태에서 쉬운 일은 아니었다. 본인이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09
- 장내미생물의 기원이 이제야 서서히 윤곽을 보이는 것과 달리, 장내미생물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전부터 뜨거웠다. 불을 당긴 건 미국 워싱턴대 제프리고든 교수팀이었다. 2006년 ‘네이처’에 장에 사는 세균에 따라 날씬해지거나 살이 찔 수 있다는 쥐실험결과를 공개한 이후, 장내미생물은 한 순 ... ...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09
- 어떤 호주의 원주민 부족은 숫자를 셀 수 있는 단어가 세 개뿐이다. 하나, 둘, 그리고 많이. 그들이 사용하는 단어 ‘많이’는 ‘머리카락’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단다. 이 부족이 숫자를 세 개밖에 쓰지 않는다고 해서 세상에 단 세 개의 숫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당장 눈앞에만 해도 손가락 열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09
- 돌아가시기 며칠 전, 갑자기 정신이 맑아지신 외할머니가 자식들을 불러 손녀들의 몸무게를 물어보셨다. 그리고 은경에게 유품으로 체중계를 남기셨다.“애지중지하시던 건가요?”“아니, 창고에 처박혀 있던 건데.”“그럼 이걸 왜 저한테 주신 거예요?”영문은 알 수 없었지만 일단 받았으니 다 ... ...
- [Career] 슈퍼컴과 친해진 일주일과학동아 l201609
- 한 달 내내 이어진 폭염의 전주곡 같았다. 8월 1일, 울산에는 폭염주의보가 내렸다. 하지만 울산역 플랫폼에서 만난 몇몇 학생들의 표정은 설레고 들뜬 모습이었다. ‘젊음이 좋구나’라는 생각이 스쳤다. 그런데 잠시 후, 그들이 무엇 때문에 설렜는지 알 수 있었다.UNIST 경동홀에서 한 무리의 학생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09
- 노벨상 수상자 111명과 과학자와 일반 시민 5769명이(8월 17일 기준) 환경 운동단체에게 유전자변형작물(GMO)을 반대하는 활동을 중단하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과학자와 환경단체 사이의 갈등이야 간혹 있어왔던 일이지만, 이렇게 노벨상 수상자들이 단체로 환경단체의 활동을 비판하고 나선 건 이례적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09
- 빛은 파동이면서 입자다. 그런데 고체 속을 흐르는 진동과 소리 역시 파동인 동시에 입자다. 고체를 구성하는 원자들이 흔들릴 때 ‘포논’이라는 양자화된 입자가 전파된다. 거미줄이 강한 이유도, 차세대 소재 그래핀이 뛰어난 이유도 포논에 있다.잘 알려져 있다시피 아인슈타인은 죽을 때까지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