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생각"(으)로 총 3,87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여전히 수학자가 필요해수학동아 l201701
- 무선 충전, 전기 자동차, 그리고 아직은 상상일 뿐인 우주발전소 같은 건 수학자 없이는 있을 수 없었을 겁니다. 그렇다면 수학자의 임무는 끝난 것일까요? 현재 우리는 전기가 없는 세상은 상상도 할 수 없습니다. 이제 수학자들은 더 편리하고 똑똑하게 전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01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에서는 개교 70주년을 맞아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7대 미래기술’을 선정했다. 각 분야의 동문들과 재학생들이 투표한 결과다. 영화에서나 나올 것 같은 이야기지만 가까운 미래에 상상했던 수준 이상으로 발전하게 될 전망이다. 각 기술의 최 ... ...
- [Issue] 젊음 주사?과학동아 l201701
- 최근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미용 주사’가 언론에 자주 등장한다. 신데렐라주사나 백옥주사 같은 이름은 듣기만 해도 피부가 고와질 것만 같다. 최근에는 태반주사와 신데렐라주사, 백옥주사 등을 묶은 길라임 주사’까지 나왔다. 과연 주사를 맞는 것만으로도 ‘건강한 젊음’을 되찾을 수 있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하다!수학동아 l201701
- 이중범 박사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에서 3년간 연구와 강의를 했습니다. 2015년 가을부터는 미국 월스트리트의 어느 금융회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이 박사가 푼 문제는 ‘램지 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6명이 모이면 이중 ... ...
- [Future] 1초를 둘러싼 전쟁, 윤초과학동아 l201701
- 2017년은 365일하고도 1초가 더 있는 ‘윤초’의 해다. 한국 시간으로 2017년 1월 1일 9시에 1초가 추가된다. 윤달과 윤년은 친숙하지만, 윤초는 우리에게 아직 생소하다. 눈 깜짝할 새 지나가는 1초지만, 여기에는 많은 이야기가 숨어있다.시간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현재 인간 생활과 크게 관 ... ...
- Part 3. 중력 수정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01
- 암흑에너지는 ‘우주에 퍼져있으면서 척력을 일으키는 무언가’라는 것 외엔 아무런 단서가 없다. 과학자들은 ‘우리가 중력을 잘못 알고 있는 건 아닐까’라고 생각해 중력이론을 수정하기 시작했다.상대성이론의 등가원리처럼 심오한 원리는 아직 찾지 못했다. 가속팽창을 잘 기술하는 모형부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01
- 권태준 UNIST 생명과학부 교수의 연구실은 마치 수산시장을 방불케 했다. 거대한 수조에 여러 마리의 개구리들이 나눠져 들어가 있었다. 물위에 둥둥 떠있는 개구리들은 마치 죽은 것 마냥 아무런 움직임이 없었다. “혹시… 죽은 건 아니겠죠?” 조심스레 묻자 권 교수는 “이래 보여도 실험실을 나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01
- 맑은 날 하늘을 보면 수많은 비행기구름이 여기저기 낙서처럼 그어져 있다. 가느다란 것도 있지만 굵게 그려진 것도 있고, 하늘을 길게 가르는 것도 있다. 그런데 이 비행기구름이 지구에 ‘죽음의 그림자’를 드리울지도 모른다. 모든 생명의 원천인 햇빛 을 가 림으로써 말이다. 2001년 9월 11일.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01
- “모니터에 파란색 우주선 보이죠? 그 우주선이 날 수 있도록 집중해주세요.” 2016년 9월 6일 배진우 마인드앤헬스의원 원장은 기자의 정수리에 전극을 붙인 뒤, 다짜고짜 우주선 게임을 시켰다. 전극은 특수한 기계 장치를 통해 모니터와 연결돼 있었다. 하지만 흔한 조이스틱도 없이 과연 생각만으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01
- 1960년대까지 결정적인 증거들이 발견되면서 빅뱅우주론은 성공 가도를 달리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몇 가지 치명적인 문제점들이 남아 있었다.먼저 ‘위상학적 결함 문제’라는 것이 있다. 물과 얼음의 상변화를 예로 들어 보자. 물은 3차원 공간에서 어느 방향으로나 대칭성을 띤다. 그러나 온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