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푼
숟갈
수저
숫가락
d라이브러리
"
숟가락
"(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12
정렬하지 못한다. 강한 자석으로 문지르면 약한 자석으로 문지를 때보다 좀더 강한
숟가락
자석을 만들 수 있다.쇠막대기를 남북 방향으로 놓고 망치로 몇 차례 두드리면 자석을 만들 수 있다. 지자기로 인해 쇠막대기가 자화되기 때문에 나침반에 대보면 나침반 바늘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 ...
사하라에서 새로운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199912
종일 것으로 여긴다. 다른 백악기의 용각류 공룡과 달리 작은 나뭇가지를 따는데 유리한
숟가락
형태의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12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진 비교적 짧은 목을 가지고 있다. 요바리아 티구이덴시스는 복잡한 척추뼈를 가지고 있지만 등뼈와 꼬리는 북미지역에서 발견되는 용각류인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09
선택하고 재구성해 보여준다.① 사이다 폭발병이나 캔에 들어있는 사이다에 소다를 한
숟가락
넣어 보자.■왜 그럴까?소다의 주성분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_{3}$)이다. 이 물질은 산성용액에서 녹아 이산화탄소 기체를 발생시키는 성질이 있다. 사이다는 탄산이라는 약산이 녹아있는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08
들어가지 않는다.② 쓴 맛나는 알루미늄 포일알루미늄 포일 맛은 어떤 맛일까. 금속
숟가락
으로 확인해 보자.■왜 그럴까?수저와 포일의 끝부분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수저와 포일을 혀에 대면 쓴맛이 느껴진다. 이는 침이라는 전해질 용액 안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인 수저와 포일이 접촉하면서 ... ...
쥐라기공원으로의 여행
과학동아
l
199908
쥐라기 후기에 미국의 열대평원에서 살았던 목이 긴 초식공룡이다. 이빨이
숟가락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고 주로 고사리류나 속새류와 같은 식물들을 먹고 살았다. 몸길이는 18m. 열마리의 코끼리와 맞먹는 몸무게를 지닌 카마라사우루스는 거대한 몸집을 유지하기 위해 엄청난 양의 식물을 ... ...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
과학동아
l
199908
부드러운 맛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얼음과는 왜 다를까. 영하 20℃ 이하의 온도에서도
숟가락
으로 뜰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아이스크림의 독특한 풍미를 결정하는 것은 크림이나 버터에서 얻을 수 있는 유지방과 탈지분유에서 얻는 무지고형분이다. 2μ(1μ=${10}^{-6}$m) 이하의 크기를 갖는 ... ...
거품 폭탄
과학동아
l
199907
못하고 비누막에 갇힌다. 발생한 기체를 감싸고 있는 많은 비눗방울 중 일부분을
숟가락
으로 떠 라이터 불을 붙이면 비누막에 둘러싸여 있던 수소가 폭발적으로 산소와 결합하면서 큰 폭발음을 낸다. 그리고 비눗물이 들어있는 필름통 위에 로켓 모형을 올려놓고 필름통 위쪽 V자 홈에 라이터 불을 ... ...
현대판 '열려라 참깨' 염력은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03
RNG로 마음이 물질의 원자 수준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연구하게 됨에 따라
숟가락
구부리기나 공중부양처럼 큰 물체에 작용하는 염력과 구분이 불가피해졌다. 전자는 마이크로 염력, 후자는 매크로 염력으로 부르게 된 것이다.조교수로 강등된 공대학장마이크로 염력 연구가 1970년대 ... ...
세계인구 반 이상이 심령 현상 경험
과학동아
l
199901
능력이다. 매크로 염력(macro-PK)과 마이크로염력(micro-PK)의 두종류가 있다. 매크로염력은
숟가락
을 구부리는 것처럼 큰 물체에 작용하는 염력인 반면에 마이크로 염력은 전자장치를 사용하여 마음으로 원자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이다.PK와 ESP로 나타나는 현상을 통틀어 사이(psi)라 한다. 사이는 본래 ... ...
2. 인터넷 속의 단위 이야기
과학동아
l
199805
단위인 1 야드가 된다. 또 작은 찻숟갈에 담을 수 있는 물의 양이 1 ml이고, 보통 크기의
숟가락
에는 약 5 ml의 물을 담을 수 있다고 하니, 아기들이 먹는 물약의 정도가 5 ml 안팎인 것을 보면, 이런 정보도 꽤 쓸모있다는 생각이 든다. 물리교과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힘의 단위인 1 N은 보통 크기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