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멸
타파
파괴
실패
무너지기
붕괴
서곡
d라이브러리
"
멸망
"(으)로 총 233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01
창덕궁의 이름을 창경원으로 바꾸고 벚꽃나무를 잔뜩 심었다. 조선왕조가 27대 519년만에
멸망
하자 비운의 임금 순종은 오락장으로 변한 창덕궁에 머물며 하릴없이 동물원을 오갔다. 일본이 수탈해간 것은 비단 쌀과 광물자원뿐이 아니었다. 이들은 조선을 누비던 동물을 채집해 표본으로 제작했다.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0
하니 소행성이나 혜성의 공포는 결코 상상이 아니다.그러나 인간 역시 자신의
멸망
을 기다리지는 않는다. 먼저 중요한 것은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이나 혜성을 찾는 일이다. 과학자들은 2018년에는 지구접근 소행성과 혜성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보고 있다.한국천문연구원과 ... ...
람세스의 목소리가 들리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6
했다. 이어 시체를 천으로 싸서 데드마스크를 씌웠다. 과거에 생명을 불어넣다이집트가
멸망
한 뒤에도 타니스는 학자들 사이에서 잘 알려져 있었다. 서양 사람들이 발굴을 위해 타니스를 처음 찾은 것은 1722년이었다. 이어 1798년 나폴레옹과 함께 프랑스 학자들이 타니스에 왔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 ...
인류 멸종한 지구도 평화롭더라
과학동아
l
200705
미래 동물 이야기에 초점을 맞췄다.개간과 농경으로 망가진 온대림과 초원은 인류가
멸망
한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나자 서서히 되살아났다. 열대 습지의 원숭이는 물갈퀴와 긴 발톱, 개구리형 몸매를 갖추며 ‘수륙양용’으로 진화한다. 펭귄의 후손인 보어텍스는 12m가 넘는 거대한 몸으로 대양을 ... ...
마야
멸망
이 던지는 기후 묵시록
과학동아
l
200703
년)이 이어졌고 중국에서는 1628년 최악의 ‘산시기근’으로 농민반란이 일어나 명나라가
멸망
했다. 병자호란, 인조반정, 이괄의 난, 장길산의 봉기가 모두 17세기에 발생했다. 잃어버린 식민지를 찾아“가뭄 때문에 사라진 문명의 전형적인 예는 잉카문명 이전에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부유하고 ... ...
당나라,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과학동아
l
200702
중국에서 찬란한 역사를 자랑하던 당나라가 계절풍 때문에
멸망
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당나라의
멸망
원인은 농민 반란으로 알려져 있는데, 농민 반란 ... 시기는 세 차례뿐이었다”며 “당시 계절풍의 변화는 중남미 멕시코 지방에서 마야문명
멸망
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 ...
역사를 바꾼 무기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8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역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강력한 무기를 갖고 있지 못한 나라는
멸망
하는 일도 많았었지요.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강한 국방력을 기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어떤 무기를 개발하고 있는지‘국방과학연구소’의 김무도 박사를 만나 봤습니다.끊임없이 나라를 ... ...
바닷속에 정말 문무왕의 유물이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3
삼국통일을 이룩한 문무왕(626〜681)입니다.문무왕은 당나라와 힘을 합쳐 668년 고구려를
멸망
시키고 삼국통일을 이룹니다. 하지만 당나라가 고구려뿐 아니라 백제의 영토까지 차지하려고 하자 676년 당나라 군사들을 몰아 냅니다.그로부터 5년 뒤 문무왕은 죽음을 맞이하는데요. 죽는 순간에도 갓 ... ...
PART1 컴퓨터 바이러스는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0604
피해를 끼치는 프로그램이다. 목마 속에 숨어 있던 그리스 병사들이 트로이를
멸망
시킨 것과 비슷한 방법을 사용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백도어 : 해커가 시스템에 침입한 뒤 다시 쉽게 침입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일종의 비밀통로. 원래는 관리자가 시스템에 쉽게 접속하기 위해 만들었지만 ... ...
물문맹률 제로에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0603
문명이 탄생한 곳에는 어김없이 강이 흘렀다.어떤 문명은 가뭄 때문에
멸망
의 문턱에 들어섰을 거라는 추측도 있다.인류를 흥하게도, 망하게도 할 수 있는 게 바로 물이다.그런데도 우리는 아직 물을 잘 모른다. 물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물문맹’을 이야기하는 이유다.3월 22일 ‘세계 물의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