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멸
타파
파괴
실패
무너지기
붕괴
서곡
d라이브러리
"
멸망
"(으)로 총 233건 검색되었습니다.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01
죽어가는 11월에 시작되는 것으로 잡았다. 죽음이 존재의 시작인 셈이다. 로마가
멸망
하고 중세로 접어들어 유럽 세계가 분화되면서 다시 각 지역에 따라 새해 첫날은 다양해졌다. 예컨대 바이킹의 정복 이전까지 영국의 새해 첫날은 12월 25일이었고, 다른 유럽 국가들은 3월 25일이 가장 많았다 ...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
과학동아
l
200310
카네기멜론대 한스 모라벡 같은 급진적인 과학자는 가까운 미래에 인류가 기계들에게
멸망
하는 것은 필연적이며 누구도 그것을 막을 수 없다며 “인류는 자신의 종족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영혼을 기계속에 다운로드 해야 할 것”이라고 예언하고 있다.지구에 존재하는 두개의 ... ...
박테리아가 만든 황제의 상징
과학동아
l
200310
합니다. 소라고둥을 이용한 자주색 염색법은 1453년 오스만투르크제국에 의해 동로마가
멸망
하면서 잊혀졌다고 합니다. 황제와 운명을 같이한 셈이죠.그런데 최근 영국의 한 아마추어 화학자가 누구나 손쉽게 황제의 자주색을 만들어낼 수 있음을 보여 화제가 됐습니다. 은퇴한 엔지니어인 존 ... ...
로봇과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한다
과학동아
l
200305
애니메이션을 굉장히 좋아했단다. 그는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로봇이 처음부터 인간을
멸망
시키는 나쁜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면서 “일본은 아톰 덕분에 처음부터 인간을 위해 싸우는 좋은 이미지로 로봇이 정착됐다”고 말한다.스승인 가토 교수의 만남은 꿈을 이루는 과정에서 필연적인 ... ...
로또 당첨 소행성 지구 충돌보다 어렵다
과학동아
l
200303
소행성’은 약 1백만년에 한번씩 지구에 충돌할 것으로 예측했다. 6천5백만년 전 공룡을
멸망
시켰다고 생각되는 소행성은 크기가 10km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킬러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할 확률은 로또 복권 1등 당첨 확률에 비해 상당히 작다.확률이 크든 작든 소행성 충돌은 복권 당첨보다 심각한 ... ...
미생물이 만든 인류의 역사
과학동아
l
200207
지구에서 사라진 뒤에도 미생물은 오랫동안 지구에 남아 또다른 생명체의 탄생과
멸망
을 지켜볼지도 모를 일이다.미생물은 이처럼 ‘보이지 않는 권력자’로서 인류의 역사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미생물의 힘’의 저자 버나드 딕슨은 인류 최대한 적이자 든든한 후원자인 미생물의 ... ...
파키스탄 유령 호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07
전세계 곳곳에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메소포타미아와 마야 같은 찬란한 고대문명이
멸망
한 것은 장기간 가뭄이 지속됐기 때문이라는 일설도 있다. 수천년 세월이 지난 지금에도 인간은 계속되는 가뭄을 대처할 뾰족한 수단을 갖고 있지 못하다. 그래서인지가뭄 때문에 유령 호수가 돼버린 한나 ... ...
소행성 2880년 지구와 부딪친다
과학동아
l
200205
상당한 피해를 줄 것이다. 다행히 소행성 1950DA는 6천7백만년 전 지구와 충돌해 공룡을
멸망
시켰다고 믿어지는 소행성보다는 10배 작은 크기다.충돌까지는 아직 많은 시간이 남아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대비책을 세울 수 있다. 한가지 방법은 ‘야르코프스키 효과’를 이용해 소행성 궤도를 바꾸는 ... ...
천년왕국 신라는 숯으로 망했다
과학동아
l
200203
탓으로 찬란한 역사를 접어야했다. 우리나라도 예외일 수 없다. 천년왕국 신라가
멸망
의 과정을 밟게 된 이유도 경주 주변의 숲을 가꾸고 보전하는데 소홀했기 때문이다. 숯 이용한 기막힌 사기극삼국유사를 보면 신라 4대왕 석탈해는 어린시절 토함산에 올라 성안에 살만한 곳으로 호공이라는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03
발견되고 중국의 고문헌에 천연두에 대한 기록이 등장한다. 로마제국과 잉카문명의
멸망
이 천연두와 홍역에 의한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제1차 세계대전 중인 1918-1919년 겨울에 만연한 스페인 독감은 무려 3천여만명의 목숨을 빼앗아갔다. 인류 역사 이래 바이러스와 인간과의 접촉은 계속됐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