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기
장기간
긴
오래
오랜기간
기드림
specialty
뉴스
"
장기
"(으)로 총 4,365건 검색되었습니다.
"4만8천년 전 동굴사자 갈비뼈에 구멍…네안데르탈인 사냥 증거"
연합뉴스
l
2023.10.13
나무 창에 맞은 사슴 뼈의 흔적과 일치한다며 창이 복부 왼쪽으로부터 들어가 중요
장기
를 관통하고 오른쪽 세 번째 갈비뼈를 충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 지그스도르프 사자 골격. 회색이 발굴된 뼈들 (B) 오른쪽 세 번째 갈비뼈에 난 구멍 (C) 오른쪽 치골의 절단 자국 (D) 오른쪽 네 번째 ... ...
포경 규제로 늘어난 회색고래, 기후변화로 또 다시 감소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사체들이 다시 발견되기 시작했다. 연구팀은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회색고래 개체 수
장기
데이터와 북극 환경 데이터를 결합해 분석을 시행했다. 그 결과 회색고래 먹이인 해저 갑각류의 양이 연관을 보인다는 점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고래 개체 수 감소는 먹이 접근성 저하와 연관이 있을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⑨풀어드립니다…합성생물학·세포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키우거나, 돼지 신장을 원숭이에 이식하는 등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한 이종(異種) 간
장기
이식 기술도 합성생물학의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다. 미생물의 유전 시스템을 바꿔 개량한다는 점에서 1990년대 대두된 '대사공학(Metabolic Engineering)'이나 '효소공학(Enzyme Engineering)'과 ... ...
돼지 신장 이식한 원숭이, 최장 생존 기록 썼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검사했다. 한편 국내에서도 돼지
장기
를 활용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종
장기
이식기술을 개발하는 옵티팜은 최근 돼지 신장을 이식받은 원숭이를 221일간 생존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에선 DNA 단편을 유전체 안에 삽입해 새로운 유전형질이 발현되도록 한 형질전환 돼지가 사용됐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대기만성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
2023.10.12
만들어진 mRNA-LNP 조합을 인체의 근육이나 혈관에 주사하면 근육세포나 인체의 특정
장기
에서 이를 받아들여 원하는 단백질을 만들 수 있다. 사실 이번 노벨 생리의학상에 LNP 개발자도 포함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LNP 개발은 많은 과학자들의 공동의 작업이었기 때문에 한 두 명을 특정해 수상하기가 ... ...
[특별기고] ④백신 개발 정부지원금 삭감 계획 유감
2023.10.11
해외 임상연구자들과의 논의 자체가 중단된 상태다. 연구비 문제로 프로젝트의 지연이
장기
화 되거나 중단될 경우 이로 인한 피해는 막대하다. 우선 고비용으로 생산된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사용이 어려워질 수 있다. 물론 안정성 분석을 통해 유효기간을 늘려가는 방법도 있지만 이 역시 적잖은 ... ...
[특별기고] ③바이오벤처의 백신 R&D에서 정부 지원이 중요한 이유
2023.10.11
표한다. 신종 감염병은 지속적으로 발생하지만 관심과 지원이 일회성에 그치면서 중
장기
적인 연구개발역량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단 지적이다. 이들은 코로나19를 비롯해 그동안 감염병 사태가 우리 사회에 남긴 교훈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의 지속'을 꼽는다. 이를 위해선 정부의 주도적인 관심이 ... ...
[특별기고] ①R&D예산 삭감은 '저수지 고갈'시키는 것
2023.10.10
모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분하는 역할에 그쳤고, 연구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중
장기
연구정책을 세우거나 하지는 않았다. 지금처럼 국가 차원에서 정부가 나서서 연구정책을 수립하고, 국가가 연구자금 공급의 대주주가 된 것은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다. 두 번의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국력과 ... ...
영유아가 뇌수막염에 취약한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0
이뮤놀로지’ 표지논문으로 7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장기
의 하나인 뇌를 보호하기 위해 뇌 안쪽에는 촘촘한 혈액-뇌 장벽, 바깥쪽에는 뇌수막이 있다. 이는 외부에서 유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이상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면역세포 이동이 특정 ... ...
2023년 지구 평균 기온 '1.5℃' 임계치 넘긴 날 '86일'
동아사이언스
l
2023.10.09
때 평균 온난화 수치는 현재 1.1도~1.2도 수준이나 1.5도를 넘는 날이 자주 발생한다는 건
장기
적인 평균 온난화 수치를 깨는 날이 더 가까워진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가올 2024년엔 2023년보다 더 더운 날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처음 1.5도의 문턱이 깨진 건 2015년 12월이다.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