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기
장기간
긴
오래
오랜기간
기드림
specialty
뉴스
"
장기
"(으)로 총 4,365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기억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것이 가능했을 것이다. 게다가 미모사는 습관화 기억을
장기
적으로 보유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습관화를 통해 특정 충격에 익숙해진 미모사를 28일 동안 아무런 자극 없이 키우다가 다시 예전과 같은 강도의 자극을 주면 여전히 잎 오므리기 방어 반응이 낮았기 ... ...
암젠한림생명공학상에 강찬희·민성진·이유진
동아사이언스
l
2023.10.27
촉진할 수 있는 악성 엑소좀의 형성 메커니즘을 최초로 밝혔다. 이를 통해 암이 특정
장기
로 전이되는 특이성에 대한 새로운 메커니즘을 규명했고, 엑소좀 기반 암전이 예측 진단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 등 난치성 질환의 효과적 제어가 가능한 차세대 치료법을 제시했다. 유욱준 한림원장은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⑫풀어드립니다…인공지능
동아사이언스
l
2023.10.27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산업에 특화된 '킬러솔루션' AI도 만들어낸다는 계획이다. 중
장기
적으로는 고도화된 인지·판단·추론 및 의사결정 능력을 구현한 AI를 내놓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어떤 AI보다 '똑똑한' AI를 가장 먼저 구현하겠다는 것이다. ● 효율적 학습 및 ... ...
지긋지긋한 류머티스성 관절염 없앨 새 치료 후보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0.27
뿐 류머티즘성 관절염을 완치하지는 못했다. 질병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치료제를
장기
투여하는 과정에서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했다. IBS 나노입자 연구단 연구팀은 여러 인자를 동시에 해결하고 비정상적 면역 체계를 회복시켜 스스로 질병을 치료할 수 있게 돕는 새로운 치료 후보 물질을 ... ...
보령, 美 최대 우주산업 콘퍼런스서 HIS 심포지엄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3.10.26
진행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HIS 심포지엄은 이번 ASCEND의 메인 프로그램이었다. 우주
장기
체류와 관련한 인체 건강 및 체류 환경 개선, 지구 문제 해결에 우주 환경을 활용하기 위한 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공동 주최사인 액시엄스페이스, MIT SEI(Space Exploration Initiative ... ...
[바꿔쓰자!과학용어] ②관상동맥→심장동맥...의료 부문 신체기관명
동아사이언스
l
2023.10.25
7. 대뇌피질→대뇌겉질 대뇌피질은 대뇌 표면에 있는 신경세포들의 집합이다. 피질은
장기
의 바깥층을 의미하는 용어로, ‘겉’이라는 우리에게 익숙한 고유어를 사용해 ‘대뇌겉질’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의미를 파악하기에 수월하다. 의학용어집에서도 대뇌겉질을 대뇌피질의 동의어로 ... ...
유방암 수술 후 항암치료는 필수?…"절반은 필요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3.10.24
65.4%지만 항암치료 시 생존율이 91.9%까지 증가했다. 반대로 저위험군은 암이 타
장기
로 전이될 확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안전하게 항암치료를 생략할 수 있다. 2020년 세계 최대 규모의 유방암학회에서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림프절 전이가 있는 유방암 환자도 폐경 이후 유전자 검사점수가 기준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⑪풀어드립니다…사이버 보안
동아사이언스
l
2023.10.24
수 있는 것이다. 정부는 디지털 취약점 분석·대응을 5년에서 10년 이상 걸리는 중
장기
프로젝트로 본다. 이재광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침해사고분석단 팀장은 "디지털 취약점을 분석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정보보호의 기술을 뛰어넘는 굉장히 어려운 작업"이라며 "취약점을 찾는다는 건 최대한 ... ...
이그노벨상을 타면 노벨상도 받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10.21
계획에 투입하자’고 주장했다고 알려졌다. 가임 교수가 진행한 ‘금요일 밤 실험’은
장기
적으로 볼 때 허무맹랑한 대안적 연구를 지원하는 것이 옳을 수 있다는 완벽한 사례처럼 보인다. 그는 완전히 반대처럼 보이는 이그노벨상과 노벨상 사이의 깊은 간극을 메웠다. 2010년, 안드레 가임 ... ...
[표지로 읽는 과학] 윤리 논란 넘나드는 인공 인간배아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3.10.21
배아를 14일 넘게 배양하면 안 된다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바 있다. 14일은 척추와
장기
등 인간의 신체를 형성하는 발생 첫 단계에서 나타나는 '원시선'이 출현하는 시기다. 줄기세포를 사용한 인공배아 모델을 제시한 대표적인 연구는 제이콥 한나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연구원팀의 연구다.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