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올해 노벨 화학상은 효소, 항체 등 생물 분자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효소의 방향적 진화(directed evolution of enzymes)를 연구한 프랜시스 ... 물리
학과
화학을 전공했다. 현재 캘리포니아 공대 프랜시스 아놀드 교슈의 연구실에서 생화
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재직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식물의 체관에 기생하면서 식물이 꽃 대신 잎을 만들게 한다. 김지현 연세대 시스템생물
학과
교수는 “파이토플라스마에겐 광합성으로 영양분을 만들 수 있는 잎이 꽃보다 생존에 유리하다”며 “더 많은 영양분을 얻기 위해 꽃의 발현을 막고 잎을 키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내미생물은 ... ...
중국을 꿈꾸는 과학자들에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
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hongsikjeong@tsinghua.edu ... ...
장교식 건국대 입학처장 - “기본기에 충실해야 유리”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단과대학에 소속된
학과
여도 모집 군이 다를 수 있는 만큼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
가 어느 군에 속하는지 미리 확인해야 한다”며 “가령 자연계열 중 ‘KU 융합과학기술원’은 다군으로만 선발한다”고 설명했다 ... ...
이원희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교장 - “과
학과
인문학 아우르는 하이브리드형 인재”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특히 강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학 교수가 직접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육과정, AP(대
학과
정선이수) 과정, 창의연구(R&E) 프로그램 등 학생들의 역량 향상을 돕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는 다른 과학고와 마찬가지로 의·약대 지망 학생에 대한 불이익 규정을 두고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
학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공대에서 주최하는 ‘청소년 공학 프런티어 캠프’도 도움이 됐다. 캠프를 통해 산업공
학과
에 대한 확신이 생겼 다. 황 씨는 “미국 등 해외 선진국에서는 산업공학의 중요성이 더 높이 인정받는다고 들었다”며 “학부를 마친 뒤 유학도 가고 싶다”고 말했다. 일반고를 나온 황 씨는 자사고와 ... ...
[과학뉴스] ‘조상 찾기 서비스’로 범인 잡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데이터가 90~99%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에 참여한 김재희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
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친족 확인도 30% 이상 맞히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doi:10.1016/j.cell.2018.09.00 ... ...
자연을 아우르는 절대 수식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원리를 밝히려고 했습니다. 약 40년 뒤인 1988년, 제임스 머레이 영국 옥스퍼드대 수리생물
학과
교수가 튜링의 아이디어를 좀 더 구체화했습니다.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의 해가 화학물질이 반응하는 시기와 태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그 결과에 따라 줄무늬인지 점박이 무늬인지 결정된다고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분야와의 융합이 잦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특히 20세기 후반부터 분자생물
학과
생화학 분야가 각광 받으면서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의 경계가 모호해졌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노벨상이 100년 이상 수상 기준과 수상 분야의 틀을 고스란히 이어온 탓에 새로운 연구 분야가 탄생하거나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만들어 배양육 연구에 방점을 찍은 것은 마크 포스트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대 혈관생리
학과
교수다. 포스트 교수는 2013년 런던에서 열린 학회에서 소의 줄기세포로 근육조직을 배양해 세계 최초로 실험실 배양 햄버거를 만든 뒤 시식까지 했다. 포스트 교수팀이 배양육을 만든 과정은 이렇다.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