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화
화합
적합
합치
동일성
화성
원
d라이브러리
"
일치
"(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때 사용하던, 신화 속의 강력한 도구였는데, 까뀌 별자리는 현대의 큰 국자(큰곰자리)와
일치
한다. 투탄카멘의 무덤 벽화에는 이런 이미지가 쌍으로 발견된다. 아마도 큰 국자(큰곰자리)와 작은 국자(작은곰자리)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다른 곳에서는 하늘의 북극 둘레에서 서로 쫓고 ... ...
여름밤에 펼쳐지는 달의 몰락 부분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5°가량 어긋나 지구 그림자 속으로 달이 들어오지 못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두 궤도면이
일치
할 때만 월식이 일어난다. 보통 1년에 두번 가량 보름날에 월식을 볼 수 있다.올해도 지난 1월 10일에 펼쳐진 개기월식에 이어서 오는 7월 5일에 부분월식이 나타난다. 지난 겨울에 일어났던 월식을 추위 ... ...
조윤제 암블랙박스 파헤치는 구조생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무엇일까. 이것은 김성호 교수(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가“건물도 기능과 모양이
일치
해야 쓸모가 있듯이 단백질이나효소 같은 생체분자도 입체구조와 그 기능은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다”고 말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이것이 생체분자의 3차원 구조에 대한 이해가 그 분자의 기능을 ... ...
마야문명의 유력한 멸망 원인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화려한 문화를 누렸던 고대 마야인들이 갑자기 사라진 이유는 무엇일까. 5월 18일자 사이언스지에 따르면 태양활동의 주기적인 변화로 인한 가뭄 때문이라 ... 어렵다”고 덧붙였다.한편 또다른 기후 연구가가 나이테를 통해 태양활동의 주기와
일치
하는 2백년의 가뭄 주기 흔적을 발견했다 ... ...
암·수 따라 달라지는 새의 노래 습득능력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수컷의 소리 습득 능력은 새로운 거주 지역에서 자신의 노랫소리를 그 지역의 방언과
일치
시키는데 도움을 준다”고 말한다. 어른 추기경새의 노랫소리는 거주 지역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노래 습득을 마친 추기경새가 다른 지역에 정착하려면 그 지역의‘방언’에 적응해야 한다. 새로운 환경에 ... ...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뭐가 다른 거죠?답 : 아, 물론 그것하고는 다르죠. 가설로부터 이끌어낸 결론이 사실과
일치
하는지를 실험이나 관찰을 통해 확인해봐야 합니다. 이른바‘검증’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렇듯‘사실과 맞춰본다’는 점에서 단순히 상상의 산물로만 끝나는 것은 아니죠. 단지 제가 말씀드리고자 ... ...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동물이 얘기하는 것은 다를까.그 비밀은 뇌에 있다. 침팬지와 인간의 유전자는 거의 99%가
일치
한다. 유전자의 역사로 계산하면 인간과 침팬지가 나뉘어진 때는 약 6백만년 전이다. 지구의 역사가 46억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정말 가까운 사촌지간이 아닐 수 없다.그러나 인간을 제외한 영장류의 ... ...
동양산학에 등장하는 수열과 급수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8}^{i-1}$-(8²+8³)= $\frac{(1×(1-{8}^{9})}{(1-8)}$ - (64+512)= 19173385(명)으로 나타난다. 결과가 답과
일치
함은 물론이다.역시 이 과정에서 등비급수의 일반식${S}_{n}$ = $\frac{a₁(1-{r}^{n})}{1-r}$ (단 r≠1)을 이용했다.이 문제는 무엇보다도 동양의 산학 전 ...
음식에 대한 극단적인 거부와 집착 301 302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확률이 50%가 넘는다. 거식증이 발생할 확률이 1%도 안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굉장히 높은
일치
율이다. 이 연구 결과는 거식증이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301 302에서 거식증 환자 송희는 거의 식사를 하지 않으면서도 정상적인 생활을 상당 기간 유지한다. 이런 일이 어떻게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수 있는 건 아닙니다.문 : 어떤 면에서 과학과 다르지요?답 : 과학의 경우 실제 사물과
일치
하는지 여부에 따라‘검증’할 수 있잖아요. 자연과학은 실험 또는 관측의 대상을 갖고 있습니다. 새를 연구하는 조류학자에게는 날아다니는 두루미가 그 대상이 될 수 있고, 소립자를 연구하는 입자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