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화
화합
적합
합치
동일성
화성
원
d라이브러리
"
일치
"(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극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지구가 막대자석이라면 막대자석의 끝점에서 복각이 90도가 돼 자극점과 지자기극점이
일치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지구의 자장은 정확한 막대자석이 아니다. 지구 전체가 하나의 막대자석이 아닌 것이다. 지구 전체적으로 하나의 막대자석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자장이 약 10% 정도다. 그리고 지역에 ... ...
우주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죽었다.식변광은 맥동변광과는 달리 쌍성계에서 우연히 공전궤도면이 우리 시선방향과
일치
해서 어두운 반성이 밝은 주성 앞이나 뒤를 통과할 때 일식과 같은 원리로 겉보기밝기가 변하는 현상이다. 주성이 반성을 가릴 때도 밝기가 조금 변하지만 밝기차이가 적어서 맨눈으로 알아챌 수는 없다. ... ...
피아노 도와 바이올린 도가 다르게 들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때에 용수철의 진동방향은 용수철 밀도의 소한 부분과 밀한 부분이 전파되는 방향과
일치
한다.이처럼 매질(용수철)의 진동방향과 파의 진행방향이 나란한 경우를 종파라고 한다.소리는 종파에 해당한다.즉 공기 밀도의 소밀(성김과 빽빽함)이 전파돼 나가는 것이 바로 음파다.모든 파동은 ... ...
저절로 박자 맞추는 박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사실이다. 네개의 진동자 시스템의 기본 모드는 위에서 보여준 네경우와 정확히
일치
한다.그렇다면 동물들은 왜 연결된 진동자와 같은 방식으로 움직이는 것일까. 아직 이 문제에 대한 정확한 해석은 없지만, 근육과 뼈의 정교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동물들의 발을 단순한 진동자로 보기엔 무리가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1백10m가 된다. 재미있는 점은 연구실에서 볼 때 그 거울의 시직경은 0.5°, 즉 달의 크기와
일치
한다는 것이다. 비록 달의 아름다움을 따를 리는 없겠지만 가끔 그 거울의 뒷모습을 보곤 한다. 착시를 느껴보기 위해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연구실 창에 10원짜리 동전을 하나 세워놓는다. 크기가 2.3cm인 ... ...
만약 30억개 염기쌍이 흩어져 있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조사했는데, 화석 자료에서 유추했던 것과 같이 생물학적 정체 기간이 인의 결핍 시기와
일치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이들에 따르면 인의 부족은 박테리아들로 하여금 공생 관계를 발전시키도록 했고, 이것이 진핵세포가 돼 단세포 식물과 동물로 진화했다는 것이다.물론 인은 당-인산 골격을 통해서 ... ...
평양교예단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몸을 유지하면 연기자는 어떤 운동을 하게 될까. 무게중심점과 줄의 몸고정점이
일치
하기 때문에 돌림힘은 발생하지 않고 단순히 진자와 같은 타원운동을 할 뿐이다.한편 가장 낮은 상태에서 올라가면서 팔을 다시 머리 위로 뻗는 이유는 반시계방향의 돌림힘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다. 만약 팔을 ... ...
케플러와 그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믿었다. 그 수치는 티코의 10회 관측결과와 각도에 있어서 2′(1′=60분의 1。)의 차로
일치
했다. 특히 천체망원경이 없었던 시대임을 감안하면 그것은 지극히 작은 각도였다. 밤하늘에서 2′은 보름달의 지름을 열다섯등분한 각도에 지나지 않는다. 무시할 수 있는 오차범위에 한동안 흥분했을지 모를 ... ...
모차르트 음악이 아름다운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뜻하는 frequency의 약자). 더욱 재미있는 것은 대중적인 인기를 끄는 곡일수록 1/f에 정확히
일치
한다는 것. 반면 록음악의 경우엔 음의 큰 주파수의 변화 영역이 크다. 한 곡을 듣다보면 음이 크게 변하는 경우가 자주 나온다는 것이다. 그것이 록음악의 특징이 아닌가!이 연구 결과가 1975년 ... ...
한국의 공룡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체계적인 탐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공룡발자국 화석과 뼈의 산출빈도가 항상
일치
하지는 않지만 수많은 발자국화석으로 미루어 경상누층군에서 다양한 공룡들이 발견될 가능성은 매우 높다. 그러나 우리나라 중생대 지층들은 예외 없이 단단하게 굳어 있어 설령 공룡뼈를 발견했다 해도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