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누구나 먹을 수 있는 빵을 만들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빵을 만들려면 일단 밀가루가 필요한데…. 밀가루를 못 먹는 사람도 있다더라고? 아직 시작도 안 했는데 벌써 위기라니! 누구나 먹을 수 있는 빵을 만들 수는 없는 걸까? 쫄깃쫄깃한 빵의 비밀, 글루텐구수한 냄새와 함께 폭신폭신하면서도 쫄깃쫄깃한 빵을 한입 베어 물면 행복해져요. 이런 빵 맛 ... ...
- [탐험대학] 하루종일 탐험, 우리는 우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인공위성과 로켓을 만들어 발사하고, 유인 달 탐사를 위해 우주인에게 꼭 필요한 물을 만드는 미션에 도전한 청소년들이 있습니다. 바로 탐험대학 학생들이죠! 지난 7월 27일과 8월 3일, 대전에 위치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카이스트에서 탐험대학 학생들이 과학자들도 풀기 어려운 우주개발 미 ... ...
- [과학뉴스] 우주를 여행하는 돛단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미국 비영리단체 ‘행성협회’는 우주 돛단배 ‘라이트세일2호’가 지난 7월 24일 지구에서부터 720km 떨어진 우주 궤도에서 돛을 펼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우주 돛단배 라이트세일2호는 태양 빛을 이용하는 ‘솔라 세일’ 방식이에요. 태양에서 뿜어져 나오는 빛 입자들이 돛을 밀면 앞으 ... ...
- [과학뉴스] 나뭇가지로 로봇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흔히 로봇이라고 하면 최첨단 소재와 기술을 떠올릴 거예요. 하지만 이러한 편견을 깨고 일본 도쿄대학교와 인공지능 개발사인 프리퍼드 네트웍스 공동연구팀은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물건으로 간단하게 로봇을 제작했어요.연구팀은 어디서든 쉽게 얻을 수 있는 나뭇가지와 로봇을 제어하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여기는 화성, 지구는 응답하라! 우주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1969년 7월 20일은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을 내딛은 날이에요. 그로부터 50년 뒤인 2019년 7월, 이번엔 섭섭박사님과 기자단 친구들이 함께 우주 탐사를 떠났어요! 과연 어디로 떠났을까요? 인류가 달에 착륙한 지 5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지구를 제외하고 인간이 발을 디 ... ...
- [과학용어] 로봇·코딩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로봇(Robot)‘로봇’이라는 단어는 1920년 체코슬로바키아 작가 카렐 차페크가 희곡 에서 처음 사용했어요. 희곡에서 ‘로봇’은 일을 시키기 위해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생명체를 말해요. 사람과 비슷한 생김새에 일을 효율적으로 해내지만, 감정이 없고 독창적인 생각 ... ...
- [통합과학교과서] 이상한 목소리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목소리 때문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야! 왕의 귀는 정말 크고 길쭉하게 생겼어요. 가까이서 보니 마치 꿀록 탐정의 친구인 당나귀의 귀를 닮아 있었죠.‘아, 왕자의 아버지가 바로 그 유명한 당나귀 귀 임금님이셨구나….’꿀록 탐정은 최대한 임금님의 귀를 보지 않으려 노 ... ...
- [과학뉴스] 두 발 로봇 '캐시', 전동 슈즈를 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흔히 로봇의 주행 방법은 두 종류로 나뉘어요. 사람처럼 다리로 걷거나 바퀴로 달리는 방식이죠. 다리가 달린 로봇은 울퉁불퉁한 땅과 계단에서 이동하기 유리하고, 바퀴가 달린 로봇은 빠르다는 장점이 있어요.지난 6월 7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하이브리드 로봇 연구소는 두 주행 ...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블랙홀은 맞았다. 과학자들은 사실상 지구 크기의 전파망원경을 만들어 지구에서 5500만 광년(빛의 속도로 5500만 년 이동해야 닿을 수 있는 거리) 떨어진 우주 공간에서 태양보다 65억 배 무거운 블랙홀을 마침내 관측했다. 미 경제전문지 포브스의 지난해 예상이 그대로 맞아 떨어졌다.중력파 예상 ... ...
- [과학뉴스] ‘웃음 가스’로 만든 테라헤르츠 레이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테라헤르츠파는 주파수가 0.3THz(테라헤르츠·1THz는 1조 Hz)에서 3THz에 이르는 전자기파다. X선 에너지의 100만분의 1 수준으로 세포의 구조를 볼 수 있어 미래 전파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테라헤르츠파 광원은 아주 적은 폭의 특정 테라헤르츠만 생성할 수 있어 활용하는 데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