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Why Are Flu Viruses Seasonal?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미
바이러스
가 변이될 수도 있고 혹은 백신이 생각보다 낮은 효과를 보일 수도 있다.
바이러스
학자들은 인플루엔자에 대해 예측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그것의 예측불가능성이라고 말한다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세밀하고 꾸준한 역학조사도 이뤄져야 한다. 동물의 장기를 이식하기 전에 방사선으로
바이러스
를 죽이긴 하지만 일부가 살아남아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첫 혜택은 당뇨병 환자에게 뉴질랜드 생명공학기업 리빙셀테크놀로지(LCT)는 최근 돼지 췌도를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피부에 좋다고 알려진 성분 디오시제닌을 추출하고, 어 씨는 식용작물 카사바에 많은
바이러스
질병을 진단하는 기법을 개발한다. 서 씨는 “한 케냐인 동료에게 이곳 대학에선 기기가 부족해 실험을 거의 못 하고 기본원리 중심으로 공부한다고 들었다”며“그 덕분에 실험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 ...
국내 하나뿐인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돼지의 염색체 속에 들어 있는
바이러스
. 현재 기술로는 제거가 불가능하다. 바로 이
바이러스
때문에 이종장기이식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PERV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직 정확히 규명되지 않았다는 뜻이다.병원균 감염을 막기 위한 소독 역시 철저히 이뤄지고 있다. 분유나 ... ...
신종 플루 팬데믹 공포, 한반도 피해는 이제 시작!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확산을 막을 수는 없다”며 “그럼에도 개인의위생은 여전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바이러스
의 주된 감염 경로인 손을 자주 씻고 사람이 많이 모인 곳은 되도록 피해야 한다. 불가피할 경우 되도록 마스크를 착용하는 게 좋다. 또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경우 손수건으로 입을 막아 주변 사람들에게 ... ...
서류-면접만으로 100% 선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주제로 6개의 질문이 출제됐다. 광우병의 이름은 어디에서 유래됐는지, 독감과 같은
바이러스
성 전염병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정상 프리온과 변형 프리온은 구조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처럼 전문지식을 알아야 대답할 수 있는 내용까지 물었다.기출 문제에 대해 더 자세한 정보는 이 학교의 ... ...
좀비PC앞세운 디도스 공격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안철수연구소가 운영하는 블로그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힌 안 교수는 “한국은 1999년 CIH
바이러스
대란, 2003년 인터넷 대란에 이어서 이번 사태에 이르기까지 세계에서 사이버 공격에 따른 피해가 가장 큰 나라가 됐지만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며 “이번 사태는 우리가 자초한 측면이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발견됐다”는 논문을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2004년 1월호에 실었다. 연구팀은 이
바이러스
가 암세포 표면에 있는 특정 수용체에 쉽게 들러붙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첨단 태양전지 안에 모기 눈 있다?!모기의 생태뿐만 아니라 생김새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발명품이 탄생하는 경우도 있다. ... ...
여행지에서 먹는 물 걱정 끝!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살모넬라균과 소아마비를 일으키는 폴리오
바이러스
는 99.99%까지 제거됐다.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정수시킬 물의 양을 입력한 뒤 자외선램프와 그 윗부분에 달려 있는 물 감지 센서까지 물에 담그고 스위치를 누른다. 물 감지 센서가 물에 들어가지 않은 ... ...
A형간염 왜 더 독해졌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희한하게도 B형간염
바이러스
를 갖고 있는 사람에게만 감염된다. 학계에서는 D형과 B형
바이러스
가 공생하는 관계라고 보고 있다. 다행히 국내에선 아직 D형간염
바이러스
가 발견되진 않았다. 주로 그리스나 이탈리아 같은 지중해 주변지역에서 나타난다.A형간염 환자가 증가하면서 C형과 E형간염에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