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Why Are Flu Viruses Seasonal?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미
바이러스
가 변이될 수도 있고 혹은 백신이 생각보다 낮은 효과를 보일 수도 있다.
바이러스
학자들은 인플루엔자에 대해 예측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그것의 예측불가능성이라고 말한다 ... ...
신종 플루 팬데믹 공포, 한반도 피해는 이제 시작!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확산을 막을 수는 없다”며 “그럼에도 개인의위생은 여전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바이러스
의 주된 감염 경로인 손을 자주 씻고 사람이 많이 모인 곳은 되도록 피해야 한다. 불가피할 경우 되도록 마스크를 착용하는 게 좋다. 또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경우 손수건으로 입을 막아 주변 사람들에게 ... ...
사춘기 여드름보다 독한 성인 여드름 퇴치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흐르면 고름이 쌓여 노란색을 띠고 만지면 아프다. 바로 피부 안에서 피지를 먹고 사는
바이러스
인 여드름 균(Propionibacterium acnes)이 여드름에서 증식하면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여드름 균은 모든 사람의 모낭에 살며 산소를 싫어하는 특징이 있다. 평소에는 여드름을 일으키지 않다가 ... ...
서류-면접만으로 100% 선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주제로 6개의 질문이 출제됐다. 광우병의 이름은 어디에서 유래됐는지, 독감과 같은
바이러스
성 전염병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정상 프리온과 변형 프리온은 구조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처럼 전문지식을 알아야 대답할 수 있는 내용까지 물었다.기출 문제에 대해 더 자세한 정보는 이 학교의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피부에 좋다고 알려진 성분 디오시제닌을 추출하고, 어 씨는 식용작물 카사바에 많은
바이러스
질병을 진단하는 기법을 개발한다. 서 씨는 “한 케냐인 동료에게 이곳 대학에선 기기가 부족해 실험을 거의 못 하고 기본원리 중심으로 공부한다고 들었다”며“그 덕분에 실험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세밀하고 꾸준한 역학조사도 이뤄져야 한다. 동물의 장기를 이식하기 전에 방사선으로
바이러스
를 죽이긴 하지만 일부가 살아남아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첫 혜택은 당뇨병 환자에게 뉴질랜드 생명공학기업 리빙셀테크놀로지(LCT)는 최근 돼지 췌도를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이 병에 강한 새로운 품종 ‘신화콩’을 개발했다. 우리나라 재래종 콩에서 콩모자이크
바이러스
에 강한 유전자(Rsv1)를 찾아내 소원콩에 삽입한 품종이다. 신화콩은 이 병에 대한 저항성을 가질 뿐 아니라 이소플라본 함량도 다른 콩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오이 - 멘델로 헷갈리는 육종 오이는 ... ...
A형간염 왜 더 독해졌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희한하게도 B형간염
바이러스
를 갖고 있는 사람에게만 감염된다. 학계에서는 D형과 B형
바이러스
가 공생하는 관계라고 보고 있다. 다행히 국내에선 아직 D형간염
바이러스
가 발견되진 않았다. 주로 그리스나 이탈리아 같은 지중해 주변지역에서 나타난다.A형간염 환자가 증가하면서 C형과 E형간염에 ... ...
바이러스
껍질, 캡시드의 기하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단위인 불과 60개의 단백질이 모여 지름 26nm의 작은 정이십면체 캡시드를 만든다.막대형
바이러스
는 나선형 배치모든
바이러스
캡시드가 구형, 즉 정이십면체인 건 아니다. 자연계에는 구형만큼 단순한 막대형
바이러스
도 많다. 담배 잎에 감염해 허연 얼룩을 내는 담배모자이크
바이러스
(Tobacco Mosaic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때문에 수확량이 20%까지 줄었어요. 우 박사는 강원도에서 직접 감자를 재배하며
바이러스
에 잘 견디는 신품종을 개발했습니다. 제주도에 감귤을 재배하면 잘 자랄 거라고 처음 내다본 사람도 바로 우 박사였어요.”우 박사 덕분에 제주 서귀포는 현재 국내 최대의 감귤 생산지가 됐다.우 박사는 195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