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에이즈와 싸우는
바이러스
총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VSV의 정확한 3차원 구조를 알면 변형된 VSV가 어떤 메커니즘을 거쳐 암세포나 에이즈
바이러스
를 없애는지 알아낼 수 있다.펭 박사는 “앞으로 VSV를 원자 단위에서 좀 더 세밀하게 분석해 분자끼리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관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삼을 정도로 주목받았다. 아프리카 콩고에서는 소아마비 환자 발생지도를 통해 소아마비
바이러스
의 이동과 취약성을 분석하고 있다.얼마 전에는 전자지도가 아이티의 구호팀에게 ‘비밀무기’라고 불리며 활용성을 인정받았다. 아이티는 지진 피해로 수도인 포르토프랭스가 거의 완전하게 파괴된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활동을 줄일 수 있다는 방안을 떠올렸다. 그는 원숭이의 신장 세포에서 배양한 폴리오
바이러스
세 종류를 포르말린으로 불활성화시켜 몸에 주사하는 사(死)백신을 개발했다. 소아마비의 위험에서 어린이들을 구한 아이디어가 뜻밖에도 오래된 성당에서 떠 오른 것이다.그는 바로 여행을 중단하고 ... ...
개화유전자 FT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2월 4일자에 약간 생뚱맞은(?) 논문이 게재됐다. 영국의 워릭대 홍 이궈 박사팀은 식물
바이러스
시스템을 이용해서 연구한 결과 FT mRNA도 여전히 이동한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했다. 또한 FT mRNA의 1~102번째 염기가 FT mRNA의 이동에 중요하다는 결과도 보고했다. 이 연구팀은 FT 단백질과 함께 FT mRNA도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빛보다 파장이 더 짧은 전자빔을 이용하기 때문에 광학현미경으로 볼 수 없었던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까지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다. 하지만 시료를 바싹 말려서 표면에 금속성 물질을 입히기 때문에 살아 있는 생명체를 보는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반해 광학현미경은 비교적 낮은 에너지의 ... ...
줄기세포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했지만 식약청이 당초 줄기세포 유래 물질의 화장품 원료 사용을 금지하려던 것은
바이러스
감염을 포함해 줄기세포 화장품의 안전성 검토가 미흡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유럽연합도 전염성에 대한 우려와 윤리적 문제를 이유로 인체 유래 물질을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도록 ‘배합금지 리스트’에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찾아 내려온 것이었답니다.치명적인 전염병과
바이러스
도저히 방법이 없어요. 악성
바이러스
가 전세계로 퍼져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는데, 의사로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요! 2009년 신종플루가 전세계를 휩쓸었을 때는 붓순나무에서 타미플루의 재료를 얻어서 사람들을 구했어요. 죽어가는 ... ...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파동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카카오 나무를 호시탐탐 노리는 악명 높은 천적으로 떠올랐다. 전문가들은 이
바이러스
로 인해 아메리카에서 벌어졌던 최악의 시나리오가 아프리카에서 재현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CSSV가 아프리카에서 확산될 경우 3년 안에 모든 카카오 농장이 문을 닫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 ...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주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입법 활동을 했다.그는 “10여 년 전에 이미 해커 10만 양성설을 제기했고, 또 인간과
바이러스
의 전쟁을 예견했다”며 “과학을 한다는 건 우주를 창조한 조물주의 속삭임을 알아듣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지금 그의 임무는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많은 사람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이 ... ...
발명왕 ‘떡잎’부터 알아보고 키우는 창의발명캠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플루 팬데믹 공포, 한반도 피해는 이제 시작!’과 더사이언스 2009년 11월 5일자 ‘발빠른
바이러스
는 독하지 않다’ 등이었다.해외 탐방 프로그램은 일본 도쿄에서 진행됐다. 고등부 청소년들은 선단기술관(TEPIA), 국립과학박물관, 과학미래관 등을 견학했다. 선단기술관은 정보통신, 도시 환경과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