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❷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上)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조금만 찾아봐도 시체의 뼈를 이용해 사망자의 키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전체 뼈가 모두 남아있지 않더라도, 혹은 두개골이 없어도요. 뼈의 일부로 키를 추정하는 공식이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쓰이는 공식은 1958년에 나온 ‘트로터와 글레저 기법(Trotter & Gleser)’입니다. 이 기법은 2014년 유병언의 ...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나 있는 물고기와 달팽이처럼 패각이 말려 있는 암모나이트, 그리고 껍데기 무늬가 남아 있는 조개 화석도 찾았다.이유민 탐사대원은 “사진으로만 봤던 화석을 직접 찾고, 또 만져보면서 관찰하니 신기했다”면서 “화석이 우리에게 속삭이는 옛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을 수 있었다”고 소감을 ...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현재 이 분야에 상당한 진전이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이보다 더 큰 문제가 아직 남아 있다. 원하는 만큼 큰 화력을 ‘안전하게’ 내는 조건을 아직 정확하게 모른다는 점이다. 성 교수는 “금속 분말의 알갱이가 너무 작으면 쉽게 타지만 나오는 에너지가 너무 적거나 오히려 폭발할 위험이 있고, ... ...
- [News & Issue] “내 아를 낳아도” 육식공룡 구애 흔적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자연유산에 등재 신청했다가, 국제 비교연구 부족으로 신청을 철회했다”며 “유럽과 남아메리카의 흔적화석을 연구한 뒤에는 남해안 화석산지의 학술적 가치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첨가해 단백질 구조를 보존하면서 냉각시켜 왔다. 그럼에도 여전히 문제는 남아있었다. 단백질 종류마다 필요한 저온보호물질의 종류가 달라서 실험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바이러스처럼 큰 구조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분석 결과도 명확하지 않았다.김 교수는 박사과정생이던 2004년에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경우가 많았다. 시체가 훼손돼 검시관이 사인을 밝히는 데 장애가 되고, 증거물에 남아있던 지문이 긁혀 사라지는 일이 벌어졌다. 기껏 인양해 왔는데 법정에서 증거로 인정받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다이빙 능력을 우선하다보니 수사를 전혀 해보지 않은 사람들이 현장에 투입됐기 때문이다 ...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18~20시간을 자는 고양이는 야생에서 숨을 장소가 필수였는데, 그 습관이 아직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것이다.[고양이가 쥐를 사냥하거나 박스에 숨는 행동은 여전히 야생성을 가졌다는 뜻이다. 반면 9500년 전부터 사람과 함께 살면서 주인에게 애교를 부리거나 목소리를 바꿔 원하는 바를 얻어내는 등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당장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먹지 못하게 했겠죠. 혹시 산분해간장 속에 쓰고 남은 산이 남아 있는 것 아닌가 하는 걱정은 안하셔도 되요. 중화라는 방법으로 산을 없애거든요. 한때 발암물질 논란도 있었지만 잔류 기준이 엄격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산분해간장에 양조간장을 조금만 섞어도 ...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배터리 잔량도 빠르게 감소한다. 이 때문에 배터리 잔량이 적게 남아 있을수록 더 빠르게 배터리가 닳는다. 배터리, 넌 얼마나 사용할 수 있니?스마트폰을 사용한 지 보통 1~2년쯤 되면 배터리가 너무 빨리 소모돼 불편하다. 이때쯤 되면 항상배터리가 빨리 닳는다. 그래서 어딜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넘어야 하는 이유조선의 첫 번째 임금인 태조의 어진은 모두 25~26점이 있었지만, 지금 남아있는 건 단 1점입니다. 조선왕조실록에 담긴 태조의 어진은 경기전 내 정전에 있었습니다.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손홍록, 안의 등 신하들이 내장산 용굴암으로 옮겨 보호한 덕분에 어진 1점이 무사할 수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