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잔류하는 물질이 없다는 게 장점이다. ● 농식품 저장감귤, 딸기 등의 과일을 동남아 지역에 수출할 때 가장 큰 문제는 부패다. 과일을 4℃NFRI이하의 온도로 신선하게 운반해도 검역 과정에서 포장을 열면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과일 표면에 닿아 부패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때 플라스마가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1980년대 후반까지 사용된 유연휘발유에만 있는 납 성분이 당시에 쌓인 퇴적물에만 남아있는가 하면, 현재는 사용이 금지된 살충제 속 수은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생물의 멸종도 인류세의 근거로 제시된다. 이제까지 다섯 번의 생물 대멸종이 일어났고 모두 지질시대의 경계점으로 인정됐는데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정확하다”고 말했어요.직접 그린 그림부터 3D 몽타주까지범죄 현장에 아무런 단서도 남아 있지 않고 사건을 직접 본 목격자만 있을 때, 목격자의 증언에 따라 그린 몽타주는 유일한 단서가 돼요. 몽타주란 말은 ‘조합하다’라는 뜻의 프랑스어 ‘Montor’에서 유래했어요. 목격자가 범인의 눈, 코,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스위스 남부의 티씨노(Ticino)주에서는 더듬이의 일부가 자라지 않고 부드러운 상태로 남아있는 기이한 곤충들이 발견됐다. 조사결과 이런 방사능 낙진은 바람을 타고 유럽 전체로 퍼졌다. 우크라이나에서 2000km 이상 떨어진 이탈리아와 프랑스에 서도 세슘의 방사성핵종인Cs-137과 Cs-134가 검출됐다.2 ...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진보를 이뤄냈다.그런데 태양과 지구 사이의 에너지 전달에는 아직 풀리지 않은 퍼즐이 남아있다. 태양 에너지의 1%는 빛이 아닌 플라스마라고 불리는 특별한 상태로 전달되는데, 그 과정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1%의 난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인류는 또 한 번의 위대한 과학적 성취를 ...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다. ‘과학동아’도 함께 금기를 깨고 세상 어디에도 없는 연재를 시작한다.온기가 남아 있는 시신이 백골이 될 때까지 매일 사진을 찍는 일. 지난 몇 년 동안 내가 해 온 일이다. 처음에는 자연 상태로 땅 위에 놓여 부패해 가는 시신들을 보는 것만으로 마치 지옥에 와 있는 기분이 들곤 했다.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닥치더라도 위험하지 않습니다. 상용화까지는 극복해야 할 기술적 문제들이 많이 남아 있지만 난제들을 하나씩 해결해 궁극적으로는 인류가 수백만 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인공태양을 건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난류를 없앨 방법은? 초고온 플라스마의 난류를 없애는 것은 60년 넘게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재건하라는 임무를 받았어요. 내전 기간 동안 문을 닫았던 이 대학에는 단 36명의 학생이 남아 있었고, 전국에 수소문해 이들을 가르칠만한 교수를 겨우 두 명을 찾았죠. 독재자 폴 포트와 그를 따르던 크메르 루즈는 지식인들을 무차별적으로 잡아다 고문하고 살해했습니다. 지식인 같이 보인다는 ... ...
- [지식] #數수스타그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합성하는 방식이에요. 이 방식을 이용하면 나이아가라 폭포는 물론, 이집트 피라미드나 남아메리카 마야 문명 유적 앞에 서 있는 제 사진도 만들 수 있답니다.저도 한 번 제 모습을 나이아가라 폭포 사진에 합성해 보겠습니다. 현실감을 살리기 위해 삐죽 삐져나온 머리카락까지 정성스레 잘라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키우는 개구리들이 있어요. 보통 알에서 올챙이가 깨어나면 알아서 포식자를 피하며 살아남아 개구리로 성장해요. 그런데 어떤 개구리들은 등이나 주머니에 알이나 올챙이를 지고 다니며 새끼를 키워요.얼마 전 미국의 한 양서·파충류 보호단체에서 SNS에 사진을 공개해 화제가 된 ‘블랭거의배낭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